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불두상방분[佛頭上放糞] 이 말은 본질은 선()한데 좋지 못한 것이 붙어 있다는 것을 비유한 것이다. 전등록(傳燈錄)鳥雀 於佛頭上放糞이란 말이 보인다. 불두방분(佛頭放糞).

불두착분[佛頭著糞] 경멸이나 모욕을 당함을 비유한 말이다. ()나라 때, ()씨 성을 가진 한 사나이가 하루는 절에 갔다가, 참새들이 불상의 머리에 똥 싸놓은 것을 보게 되었다[鳥雀于佛頭上放糞]. 그는 절의 주지가 너무 나태하다는 생각이 들어 크게 화를 내며 주지에게 말했다. “이런 참새들에게도 불성(佛性)이 있소?” 주지는 이 사람의 의도를 잘 알고 대답했다. “물론 있지요.” 그 사나이는 주지의 이런 대답을 듣고, 그가 어떤 식으로 변명할 것인지 궁금하여 다시 질문을 하였다. “참새에게 불성이 있다는 것을 어떻게 알지요? 참새에게 불성이 있다면 어떻게 부처의 머리에 똥을 쌀 수 있겠소?” 주지는 웃으면서 대답하였다. “참새가 불상에 똥을 싼 것은 바로 부처가 자비하여 살생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참새들이 독수리의 머리에 가서 똥을 싸지 않는 까닭이 무엇이겠습니까?” 그 사나이는 그저 웃을 수밖에 없었다.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 여회선사(如會禪師)>

불려[拂廬] 토번(吐蕃) 사람들이 사는 장막이다.

불렵현훤[不獵懸貆] 시경(詩經) 위풍(魏風) 벌단(伐檀)애써 뛰고 달려 사냥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네 집 뜰에 오소리가 매어 달릴꼬.[不狩不獵 胡瞻爾庭有懸貆兮]”라고 한 데서 온 말인데, 자신이 사냥을 않고도 돈을 주고 고기를 사 먹을 수 있음을 비유한 말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