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봉자[鳳觜] 십주기(十洲記)에 “도가(道家)에서 봉의 부리와 기린의 뿔을 합하여 달여 만든 아교를 속현교(續絃膠)라고 하는데 이를 사용해 끊어진 활줄을 잇는다.”고 하였다.
❏ 봉자[鳳姿] 임금의 자태이다.
❏ 봉자서로[鳳觜犀顱] 신체적으로 특이하다. 봉의 부리, 무소 두개골은 관상학(觀相學)에 있어 모두 귀인(貴人)의 상에 속한다.
❏ 봉장추[鳳將雛] 봉황이 새끼를 거느리고 있다는 뜻이다. 어버이와 자식이 함께 있는 것을 노래한 옛 악곡의 이름이다. 고악부(古樂府) 농서행(隴西行)에 “봉황새 추추히 우는구나, 한 어미 아홉 새끼 거느리고[鳳凰鳴啾啾 一母將九雛]”라 하였다.
❏ 봉전[封傳] 당시 진나라가 시행하던 통행증제도이다. 나무판을 사용하여 만든 것으로 윗면에 이름 등의 인적사항을 쓰고 다시 나무판을 이용하여 봉한 뒤 인장을 찍었다. 때문에 봉전(封傳)이라 한 것이다.
❏ 봉전[葑田] 줄풀[菰]이나 마름[菱]이 여러 해 동안 자라며 썩은 진흙이 쌓여서 밭이 된 것을 말한다.
❏ 봉조[鳳詔] 봉조는 임금의 조칙(詔勅)이다. 후조(後趙)의 석계룡(石季龍)이 오색지(五色紙)에다 조서(詔書)를 써서 나무로 만든 봉(鳳)의 입에 물려서 반포(頒布)하였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봉황대[鳳凰臺]~봉황령[鳳凰翎]~봉황명고강[鳳凰鳴高岡] (0) | 2015.10.14 |
---|---|
봉호[蓬壺]~봉호몰인[蓬蒿沒人]~봉화여산하[烽火驪山下] (0) | 2015.10.14 |
봉패위[逢覇尉]~봉해천[蓬海淺]~봉혜하덕쇠[鳳兮何德衰] (0) | 2015.10.14 |
봉창[篷牕]~봉천조[奉天詔]~봉침[縫針] (0) | 2015.10.13 |
봉조부지상중니[鳳鳥不至傷仲尼]~봉주[鳳咮]~봉지완공영[蓬池阮公詠] (0) | 2015.10.13 |
봉의[縫衣]~봉일[捧日]~봉입금지교[鳳入禁池翹] (0) | 2015.10.13 |
봉요[蜂腰]~봉우진[封于秦]~봉유족[封留足] (0) | 2015.10.13 |
봉양군[奉陽君]~봉영이매[逢迎魑魅]~봉옥[封屋] (0) | 2015.10.12 |
봉시[封豕]~봉아[蜂衙]~봉액[縫掖] (0) | 2015.10.12 |
봉소성단채운수[鳳簫聲斷彩雲愁]~봉수[鳳髓]~봉수[燧烽] (0) | 2015.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