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봉각[鳳閣] 중서성(中書省)을 봉각(鳳閣)이라 한다.
❏ 봉간[封干] 비간(比干)은 은 나라의 포악한 임금 주(紂)에게 간(諫)하다가 죽임을 당한 사람인데, 주 무왕이 주를 쳐서 멸하자 비간의 무덤을 봉해 주었다.
❏ 봉개[鳳蓋] 천개(天蓋)가 달린 수레로 고관(高官)을 가리킨다.
❏ 봉거[鋒車] 임금이 신하를 급히 부를 때에 내리는 경쾌한 수레를 말한다.
❏ 봉격[捧檄] 어버이의 봉양을 위해 벼슬하는 것을 말한다. 동한(東漢)의 효자 모의(毛義)가 집안이 빈한하여 모친을 제대로 봉양하지 못하다가 현령(縣令) 임명장을 받들고서[奉檄] 그지없이 기뻐하는 모습을 보이더니, 모친이 세상을 떠난 이후로는 관직을 그만두고서 다시는 벼슬길에 나가지 않았던 고사가 전한다. <後漢書 卷39 劉平等傳 序>
❏ 봉격희동안[奉檄喜動顔] 벼슬길에 나아가 부모를 봉양할 수 있게 되어 기뻐한다는 뜻이다. 후한(後漢)의 모의(毛義)가 어머니를 효성으로 섬긴다고 소문이 나자, 장봉(張奉)이 그의 이름을 흠모하여 찾아갔다. 얼마 동안 함께 앉아 있을 때 모의를 현령으로 삼는다는 격문이 오자, 모의의 얼굴에 좋아하는 기색이 가득하였다. 이에 장봉은 이를 천하게 여기고서 그곳을 떠났다. 그 뒤에 모의는 어머니가 죽자 벼슬을 내던지고 상복을 입었으며, 여러 차례 불러도 나가지 않으니, 장봉이 자신이 사람을 잘못 본 것을 탄식하였다. <後漢書 卷69 竇何列傳>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봉래천[蓬萊淺]~봉래청천[蓬萊淸淺]~봉력[鳳曆] (0) | 2015.10.11 |
---|---|
봉래산[蓬萊山]~봉래원교[蓬萊圓嶠]~봉래전각과금오[蓬萊殿閣跨金鰲] (0) | 2015.10.08 |
봉도[蓬島]~봉두난발[蓬頭亂髮]~봉래궁[蓬萊宮] (0) | 2015.10.08 |
봉노[烽櫓]~봉대곡[鳳臺曲]~봉덕지쇠[鳳德之衰] (0) | 2015.10.08 |
봉고파직[封庫罷職]~봉구봉[鳳求鳳]~봉구황[鳳求凰] (0) | 2015.10.08 |
본각[本覺]~본초경[本草經]~봉가[鳳歌] (0) | 2015.10.06 |
복행장[卜行藏]~복홀생송[腹忽生松]~복희선천[伏犧先天] (0) | 2015.10.06 |
복파취미[伏波聚米]~복포[伏蒲]~복피이출[襆被而出] (0) | 2015.10.06 |
복차지계[覆車之戒]~ 복파거안[伏波據鞍]~복파귀[伏波貴] (0) | 2015.10.06 |
복주[卜晝]~복지[鵩止]~복지곤괘[復之坤卦] (0) | 2015.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