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별부[別付] 북로(北路) 연변의 기생들이 연경(燕京)에 가는 사행원들과 동침하는 것을 말한다.
❏ 별서왕유[別墅王維] 당 나라 사람으로 망천(輞川)에 별장이 있었는데, 풍경이 아름답기로 유명하고 그 풍경을 노래한 왕유의 시로도 유명하다.
❏ 별세[別歲] 송년(送年)과 같다.
❏ 별승[別乘] 태수(太守)의 다음 자리인 별가(別駕)의 별칭이다. 즉 조선(朝鮮) 시대 판관(判官)에 해당한다.
❏ 별시[鼈廝]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 광리왕소(廣利王召)에 “내 일찍이 취하여 누워있는데 꿈에 어두귀신(魚頭鬼身)으로 생긴 자가 해중(海中)으로부터 와서 광리왕(廣利王)이 부른다고 말하여 내가 따라서 수정궁전(水精宮殿)에 나아갔었다. 광리는 패검관복(佩劍冠服)으로 나오고 뒤이어 동화진인(東華眞人) 및 남명부인(南溟夫人)이 나와 한 발 남짓한 교초(鮫綃)를 내놓으면서 나에게 명하여 시를 쓰라고 하기에 나는 부(賦)하기를 ‘天地雖虛廓 惟海最爲大 聖王皆祀事 位尊河伯拜 祝融爲異號 怳惚聚百怪……若得明月珠 可償逐客債’라 하여 써서 올리니 광리 제선(廣利諸仙)이 보고 모두 묘(妙)를 칭(稱)하는데, 옆에 한 관잠자(冠簪者)가 있어 별상공(鼈相公)이라 이르며 진언(進言)하기를 ‘객(客)이 기휘(忌諱)를 피할 줄 모릅니다. 축융(祝融)이란 글자가 왕(王)의 휘(諱)를 범했습니다.’하자, 왕이 대로(大怒)하였다. 나는 물러나와 탄식하기를 ‘가는 곳마다 상공(相公)의 시괴(廝壞)를 당한다.’고 하였다.”라고 하였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발[甁鉢]~병부[秉桴]~병불염사[兵不厭詐] (0) | 2015.09.23 |
---|---|
병만용[邴曼容]~병문원[病文園]~병문졸속[兵聞拙速] (0) | 2015.09.23 |
병경치뢰[甁罄恥罍]~병란[兵欄]~병롱승재물정참[病聾丞在勿停參] (0) | 2015.09.23 |
별학조[別鶴操]~병간공작[屛間孔雀]~병간금작[屛間金雀] (0) | 2015.09.23 |
별재위체[別裁僞體]~별족아권[鱉足兒拳]~별파[撇波] (0) | 2015.09.22 |
변화삼헌[卞和三獻]~변화헌옥삼견월[卞和獻玉三見刖]~변흑초[變黑貂] (0) | 2015.09.22 |
변어로[辨魚魯]~변풍지호예의[變風止乎禮義]~변화[卞和] (0) | 2015.09.22 |
변병비오[辨竝飛烏]~변상벽[卞尙璧]~변수[卞隨] (0) | 2015.09.22 |
벽환[碧環]~변모[弁髦]~변무[騈拇] (0) | 2015.09.21 |
벽파정[碧波亭]~벽한진[辟寒珍]~벽혈[碧血] (0) | 2015.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