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별학[別鶴] 악부(樂府)의 금곡(琴曲) 이름이다. 상릉목자(商陵牧子)가 아들을 두지 못해 장차 개취(改娶)하려 할 적에 아내가 슬피 노래하는 것을 듣고서 지었다고 한다. <古今注 卷中 音樂>
❏ 별학조[別鶴操] 별학조는 악부(樂府) 금곡(琴曲)의 이름으로, 상릉(商陵)의 목자(牧子)가 장가든지 5년이 되도록 자식이 없어 그의 부형(父兄)이 그를 다시 장가들이려 하자, 그의 아내가 그 사실을 알고 밤중에 일어나 문에 기대어 휘파람을 슬피 불므로, 목자가 그 소리를 슬피 여겨 거문고를 가져다가 노래한 것을 후인이 취하여 악장(樂章)으로 만든 것이라 한다.
❏ 병[秉] 1병은 16곡(斛)이고 1곡은 10말이다. 5병은 모두 50말에 해당하는 많은 양이다.
❏ 병[病] 매우 피곤하다.
❏ 병[邴] 병 땅은 춘추시대 정(鄭)나라 땅으로 지금의 산동(山東) 비현(費縣)지방이다.
❏ 병가상사[兵家常事] 전쟁에서 이기고 지는 것은 보통의 일이다. 실패는 흔히 있는 일이어 낙심할 것이 없다는 뜻이다.
❏ 병간공작[屛間孔雀] 당(唐) 나라 두 황후(竇皇后)의 아버지 의(毅)가 일찍이 비범한 자기 딸을 아무에게나 줄 수 없다하여, 병풍 사이에 공작(孔雀) 두 마리를 그려놓고 청혼자(請婚者)들에게 화살 두 개씩을 쏘아서 공작의 눈을 맞힌 사람에게 딸을 주겠다고 약속하였던바, 수십 명의 청혼자가 모두 그 눈을 맞히지 못했는데, 당 고조(唐高祖)가 최후에 활을 쏘아 각각 눈 하나씩을 맞힘으로써 마침내 두 황후가 고조에게 시집을 가게 된 데서 온 말이다. <唐書 竇皇后傳>
❏ 병간금작[屛間金雀] 당 고조(唐高祖)의 후비인 두 황후(竇皇后)의 아버지 의(毅)가 일찍이 자기의 비범한 딸을 아무에게나 줄 수 없다 하고, 병풍 사이에 공작(孔雀) 두 마리를 그려 놓고 청혼해 온 자들에게 화살 두 개씩을 쏘아 공작의 눈을 맞힌 사람에게 딸을 주겠다고 약속하여 수십 명의 청혼자가 모두 활을 쏘았으나 다 맞히지 못했는데, 최후에 활을 쏜 당 고조가 두 눈을 쏘아 맞힘으로써 마침내 두 황후가 당 고조에게 시집을 가게 되었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석[甁錫]~병성[帲箵]~병수복수[甁收覆水] (0) | 2015.09.24 |
---|---|
병사경한로[丙舍驚寒露]~병사지야[兵死之也]~병상여[病相如] (0) | 2015.09.23 |
병발[甁鉢]~병부[秉桴]~병불염사[兵不厭詐] (0) | 2015.09.23 |
병만용[邴曼容]~병문원[病文園]~병문졸속[兵聞拙速] (0) | 2015.09.23 |
병경치뢰[甁罄恥罍]~병란[兵欄]~병롱승재물정참[病聾丞在勿停參] (0) | 2015.09.23 |
별재위체[別裁僞體]~별족아권[鱉足兒拳]~별파[撇波] (0) | 2015.09.22 |
별서왕유[別墅王維]~별승[別乘]~별시[鼈廝] (0) | 2015.09.22 |
변화삼헌[卞和三獻]~변화헌옥삼견월[卞和獻玉三見刖]~변흑초[變黑貂] (0) | 2015.09.22 |
변어로[辨魚魯]~변풍지호예의[變風止乎禮義]~변화[卞和] (0) | 2015.09.22 |
변병비오[辨竝飛烏]~변상벽[卞尙璧]~변수[卞隨] (0) | 2015.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