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별학[別鶴] 악부(樂府)의 금곡(琴曲) 이름이다. 상릉목자(商陵牧子)가 아들을 두지 못해 장차 개취(改娶)하려 할 적에 아내가 슬피 노래하는 것을 듣고서 지었다고 한다. <古今注 卷中 音樂>

별학조[別鶴操] 별학조는 악부(樂府) 금곡(琴曲)의 이름으로, 상릉(商陵)의 목자(牧子)가 장가든지 5년이 되도록 자식이 없어 그의 부형(父兄)이 그를 다시 장가들이려 하자, 그의 아내가 그 사실을 알고 밤중에 일어나 문에 기대어 휘파람을 슬피 불므로, 목자가 그 소리를 슬피 여겨 거문고를 가져다가 노래한 것을 후인이 취하여 악장(樂章)으로 만든 것이라 한다.

[] 1병은 16()이고 1곡은 10말이다. 5병은 모두 50말에 해당하는 많은 양이다.

[] 매우 피곤하다.

[] 병 땅은 춘추시대 정()나라 땅으로 지금의 산동(山東) 비현(費縣)지방이다.

병가상사[兵家常事] 전쟁에서 이기고 지는 것은 보통의 일이다. 실패는 흔히 있는 일이어 낙심할 것이 없다는 뜻이다.

병간공작[屛間孔雀] () 나라 두 황후(竇皇后)의 아버지 의()가 일찍이 비범한 자기 딸을 아무에게나 줄 수 없다하여, 병풍 사이에 공작(孔雀) 두 마리를 그려놓고 청혼자(請婚者)들에게 화살 두 개씩을 쏘아서 공작의 눈을 맞힌 사람에게 딸을 주겠다고 약속하였던바, 수십 명의 청혼자가 모두 그 눈을 맞히지 못했는데, 당 고조(唐高祖)가 최후에 활을 쏘아 각각 눈 하나씩을 맞힘으로써 마침내 두 황후가 고조에게 시집을 가게 된 데서 온 말이다. <唐書 竇皇后傳>

병간금작[屛間金雀] 당 고조(唐高祖)의 후비인 두 황후(竇皇后)의 아버지 의()가 일찍이 자기의 비범한 딸을 아무에게나 줄 수 없다 하고, 병풍 사이에 공작(孔雀) 두 마리를 그려 놓고 청혼해 온 자들에게 화살 두 개씩을 쏘아 공작의 눈을 맞힌 사람에게 딸을 주겠다고 약속하여 수십 명의 청혼자가 모두 활을 쏘았으나 다 맞히지 못했는데, 최후에 활을 쏜 당 고조가 두 눈을 쏘아 맞힘으로써 마침내 두 황후가 당 고조에게 시집을 가게 되었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