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범경[泛梗] 물에 뜬 나무 장승[木梗]. 즉, 정처 없이 떠도는 인생을 말한다. 전국(戰國) 때 제(齊) 나라 맹상군(孟嘗君)이 진(秦) 나라에 가려 하자 문객(門客)이 들어와 “제가 올 때 치수(淄水)를 지나오다 흙으로 만든 허수아비와 목경이 말하는 것을 들었는데 목경은 흙허수아비에게 ‘자네는 원래 흙으로 허수아비가 되었으니, 큰 비가 와 홍수가 나면 반드시 무너질 것이다.’ 하자 흙허수아비는 ‘나는 허물어지면 나의 참모습을 되찾는다. 그러나 자네는 동원(東園)의 복숭아나무로 목경이 되었으니, 장마로 홍수가 나면 반드시 자네는 끝없이 떠내려 갈 것이다.’라 하였습니다.”라고 하였다. <戰國策 齊 第三>
❏ 범공오매[范公烏昧] 범공은 송 나라 범중엄(范仲淹)을 가리키고 오매초(烏昧草)는 풀 이름이다. 송 나라 인종(仁宗) 명도(明道) 2년에 범중엄이 “굶주린 백성들 가운데는 오매초를 먹는 자가 있으니, 그 풀을 뜯어다가 진어(進御)하소서. 그리고 이를 육궁(六宮)의 귀척들에게 보이어 그들의 사치스러운 마음을 경계시키소서.”라고 하였다. <續資治通鑑 宋仁宗 明道 2年>
❏ 범공징청[范公澄淸] 후한(後漢)의 범방(范滂). 그는 지방 수병들의 탐오(貪汚)를 적발하는 임명을 받고 수레에 올라 고삐를 잡으며 개연(慨然)히 천하를 맑힐 뜻이 있었다.
❏ 범관[范寬] 송(宋) 나라 때의 화가이다.
❏ 범관설보[范寬雪譜] 범관은 송(宋) 나라 때 사람으로 특히 산수화(山水畫)에 능했다. 그의 저서 중에 설보(雪譜)가 있으므로, 여기서는 곧 두보(杜甫)의 열(熱) 시에 “궁전 북쪽의 쌓아둔 눈에 바람 부는 문이 서늘하게 열렸음을 상상하노라.[想見陰宮雪 風門颯沓開]” 한 고사에 비유하여, 설보만 보아도 서늘함을 느낄 수 있다는 뜻으로 말한 것이다. <杜詩批解 卷十七>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범부무곤[范婦無褌]~범비[范轡]~범성대[范成大] (0) | 2015.09.16 |
---|---|
범망[凡亡]~범방비[范滂轡]~범범[渢渢] (0) | 2015.09.15 |
범련[泛蓮]~범로[范老]~범로흉리갑[范老胸裡甲] (0) | 2015.09.15 |
범래무[范萊蕪]~범려[范蠡]~범려주[范蠡舟] (0) | 2015.09.15 |
범국[泛菊]~범도화[泛桃花]~범두선[犯斗仙] (0) | 2015.09.15 |
벌봉전[罰捧(俸)錢]~벌제위명[伐齊爲名]~범간[帆竿] (0) | 2015.09.14 |
벌목[伐木]~벌목구우[伐木求友]~벌목편[伐木篇] (0) | 2015.09.14 |
번호[藩胡]~벌가[伐柯]~벌단편[伐檀篇] (0) | 2015.09.14 |
번천[樊川]~번쾌용순옹[樊噲龍楯擁]~번풍[番風] (0) | 2015.09.14 |
번유[藩維]~번중[樊重]~번지모경운[樊遲慕耕耘] (0) | 2015.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