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백운봉[白雲封] 백운봉은 남조(南朝) 제(齊) 나라 고제(高帝)가 산중에 은거하는 도홍경(陶弘景)에게 산중에는 무엇이 있느냐고 묻자, 시를 지어 대답하기를 “산중에는 무엇이 있는가 하면 산등성이 그 위에 흰구름 많아 스스로 마음속에 기뻐할 따름 임금에게 부쳐줄 수는 없다네[山中何所有 嶺上多白雲 只可自怡悅 不堪持贈君]”라 하였는데, 나중에 소연(蕭衍)이 양(梁) 나라를 세울 때 그를 도와 공을 세웠으므로 당시에 산중 재상이라 불렸다 한다.
❏ 백운불귀[白雲不歸] 주 목왕(周穆王)이 곤륜산(崑崙山)에 이르러 선녀인 서왕모(西王母)와 요지(瑤池) 가에서 잔치할 적에 서왕모가 주 목왕을 위하여 “백운은 하늘에 있고 ……[白雲在天……]”라는 노래를 한 데서 온 말로, 전하여 여기서 말한 백운은 곧 서왕모를 가리킨다.
❏ 백운사[白雲司] 추관(秋官), 즉 형조나 사헌부 등의 관아를 말한다. 참고로 백낙천의 시에 “淸光莫獨占 亦對白雲司”라는 구절이 있다. <白樂天詩集 卷9 和劉郞中望終南山秋雪>
❏ 백운사아경[白雲司亞卿] 형조 참의를 가리키는 말이다. 황제(黃帝)가 구름에 비유하여 관직을 명명하면서, 추관(秋官)을 백운(白雲)이라고 칭했다는데, 추관은 곧 형관(刑官)을 가리킨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의객[白衣客]~백의대사[白衣大士]~백의사자[白衣使者] (0) | 2015.09.04 |
---|---|
백유읍장[佰兪泣杖]~백은탄[백銀灘]~백의[白蟻] (0) | 2015.09.04 |
백원[白猿]~백월[百粵]~백월비[白月碑] (0) | 2015.09.04 |
백운편[白雲篇]~백운하[白雲下]~백운향[白雲鄕] (0) | 2015.09.04 |
백운요[白雲謠]~백운일재망[白雲日在望]~백운진감의마최[百韻眞堪倚馬催] (0) | 2015.09.03 |
백운[白雲]~백운각[白雲閣]~백운간점원[白雲看漸遠] (0) | 2015.09.03 |
백옥지비[伯玉知非]~백요궁[白瑤宮]~백우선[白羽扇] (0) | 2015.09.03 |
백옥루징기[白玉樓徵記]~백옥봉[白玉峯]~백옥증매채[白玉曾埋彩] (0) | 2015.09.03 |
백옥경[白玉京]~백옥당[白玉堂]~백옥루기[白玉樓記] (0) | 2015.09.02 |
백영[伯英]~백오요[柏烏謠]~백옥[白屋] (0) | 2015.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