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무[碔] 옥 비슷한 돌인데, 간신을 비유한 말이다.
❏ 무[武] 은나라의 마지막 왕 주왕(紂王)을 토벌한 주무왕의 공을 기리기 위해 만든 춤곡이다.
❏ 무[畝] 전한 시대 이전의 1무는 지금의 약 60평에 해당한다. 즉 300무란 18,000평을 의미한다.
❏ 무가무불가[無可無不可] 좋을 것도 나쁠 것도 없다는 뜻의 고사성어이다. 중용(中庸)을 지키거나 좋지도 나쁘지도 않다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옳다고 하는 것도 없고 옳지 않다는 것도 없다. 그것은 옳다고 하지 않고 또한 이것을 옳지 않다고 하지도 않는다. 즉 말하자면 하나의 입장을 고집하지 않고 그때그때의 상황에 맞게 대처해 나가는 방법을 취한다는 것이다. 공자(孔子)가 초야(草野)에 묻혀서 살아간 현자(賢者)들을 평(評)한 다음 “나는 이런 사람들과는 달리 그저 무가무불가[無可無不可]이니라”라고 덧붙였다.<논어(論語)> 이 말은 공자(孔子) 자신은 그들과 달라서 은둔생활(隱遁生活)이 좋다거나 나쁘다고 먼저 정한 후에 그런 생활에 들어갈 수는 없다는 뜻이다.
❏ 무감유해주[無監有蟹州] 진(晉) 나라 때 필탁(畢卓)이 술을 매우 좋아하고, 또 특히 게의 다리를 대단히 즐겨 먹었는데, 그가 이부랑(吏部郞)으로 있을 적에 한번은 술이 취하여 밤중에 이웃집의 술항아리 사이로 가서 술을 훔쳐 마시다가 술 관장하는 사람에게 포박되었다가 아침에야 이부랑 필탁임이 밝혀져 급히 포박을 풀게 되었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晉書 卷四十九>
❏ 무검기[舞劍器] 무곡(舞曲)의 이름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념무상[無念無想]~무당리[武當里]~무도환문[無道桓文] (0) | 2015.07.06 |
---|---|
무근지설[無根之說]~무기영[戊己營]~무녀성[婺女星] (0) | 2015.07.06 |
무곽공리렴[無槨孔鯉殮]~무구포[無口匏]~무극옹[無極翁] (0) | 2015.07.05 |
무고삼라[武庫森羅]~무골호인[無骨好人]~무공향[無功鄕] (0) | 2015.07.05 |
무경[無經]~무계로[武溪路]~무고무필[無固無必] (0) | 2015.07.05 |
묘체[妙諦]~묘해구무전[妙解久無全]~묘호류견[描虎類犬] (0) | 2015.07.05 |
묘음[卯飮]~묘지[卯地]~묘착장인륜[妙斲匠人輪] (0) | 2015.07.04 |
묘신[卯申]~묘연일속[眇然一粟]~묘원지[眇遠志] (0) | 2015.07.04 |
묘두현령[猫頭縣鈴]~묘사[廟司]~묘수좌[猫首座] (0) | 2015.07.04 |
묘건사골[廟巾笥骨]~묘계질서[妙契疾書]~묘당[廟堂] (0) | 2015.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