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맥수송[麥穗頌] 보리 이삭이 두 갈래가 생기는 것을 풍년의 조짐이라 하는데, 후한(後漢) 때 장감(張堪)이 어양태수(漁陽太守)가 되어 선정을 베풀자, 백성들이 그를 칭송하여 노래하기를 “뽕나무엔 붙은 가지가 없고 보리 이삭은 두 갈래가 생기었네, 장군이 고을을 다스리니 즐거움을 감당치 못하겠네.[桑無附枝 麥穗兩岐 張君爲政 樂不可支]”라 한 데서 온 말이다. <後漢書 張堪傳>
❏ 맥수양기[麥穗兩岐] 고을 백성들이 수령의 선정(善政)을 칭송하는 것을 말한다. 후한(後漢)의 장감(張堪)이 호노(狐奴)에서 전답을 개간하여 백성들의 생활을 풍요롭게 해 주자 백성들이 “보리에 이삭이 두 개씩 달렸다[麥穗兩岐]”라고 좋아하면서 노래를 불렀다는 고사가 있다. <後漢書 張堪傳>
❏ 맥수유기[麥穗有岐] 보리 이삭이 두 갈래가 지면 풍년 들 징조라 하는데, 후한 때 장감(張堪)이 어양태수(漁陽太守)가 되어 선정을 베풀자, 백성들이 노래하기를 “뽕나무는 붙은 가지가 없고 보리 이삭은 두 갈래가 지도다. 장군이 정사를 하니 즐거움을 감당치 못하겠네.[桑無附枝 麥穗兩岐 張君爲政 樂不可支]”라 한 데서 온 말이다.
❏ 맥수지탄[麥秀之歎] 기자(箕子)가 은(殷)나라 도읍을 지나며 보니 고국은 망하여 옛 궁실(宮室)은 폐허가 되고 그 터에 보리 이삭(麥秀)이 무성한 것을 보고 맥수지가(麥秀之歌)를 지어 탄식한 것에서 유래한 말이다. 나라를 잃은 후의 한탄을 뜻한다.
❏ 맥수지탄[麥秀之嘆] 나라를 잃은 것에 대한 탄식(歎息). 기자(箕子)가 은(殷)나라가 망한 뒤에 그 폐허(廢墟)에 보리만 자라는 것을 보고 맥수가(麥秀歌)를 지으며 한탄(恨歎)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 나라의 멸망을 한탄한다. 맥수(麥秀)는 보리가 무럭무럭 자라남을 뜻한다. <史記>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맹교한[孟郊寒]~맹명제하[孟明濟河]~맹모교자[孟母敎子] (0) | 2015.06.15 |
---|---|
맹공작[孟公綽]~맹광양홍[孟光梁鴻]~맹교[孟郊] (0) | 2015.06.15 |
맹가표검[盟柯摽劒]~맹견명[孟堅銘]~맹견위지본심념[孟堅爲志本心拈] (0) | 2015.06.15 |
맥판[麥坂]~맹가[孟嘉]~맹가린[孟家隣] (0) | 2015.06.15 |
맥여궁[麥與藭]~맥일구[貉一丘]~맥주[麥舟] (0) | 2015.06.14 |
맥상상[陌上桑]~맥상화곡[陌上花曲]~맥수가[麥穗歌] (0) | 2015.06.14 |
맥락장[伯格長]~맥망[脈望]~맥상[陌上] (0) | 2015.06.14 |
매희[妹嬉]~맥구읍인[麥丘邑人]~맥국[貊國] (0) | 2015.06.14 |
매형[梅兄]~매화곡[梅花曲]~매화인[梅花引] (0) | 2015.06.13 |
매짐[媒鴆]~매추[枚鄒]~매치애[賣癡獃] (0) | 2015.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