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둔황공업[屯湟功業] () 나라 휘종(徽宗) 때 왕후(王厚)가 황주(湟州)에 진을 치고 강족(羌族)을 정벌하여 대승을 거두고 실지(失地)를 한꺼번에 수복했던 고사를 말한다. <宋史 卷328, 492>

득가서[得家書] 두보(杜甫)가 안녹산(安祿山) 난리 때 봉상(鳳翔)에 있으면서 부주(鄜州)에 있는 식구들 소식이 궁금해 서신을 보냈으나 답신이 없어 안절부절하다가 늦게야 서찰을 받고는 득가서(得家書)’라는 제목으로 시를 읊어 기쁨을 나타내었다. <杜少陵詩集 卷五>

득노병[得老兵] 술친구를 찾아 술을 마신다는 뜻이다. () 나라 때 사혁(謝奕)이 술 마시기를 아주 좋아하였는데, 술에 취하면 조정의 예의를 따지지 않았으므로, 그의 상관인 환온(桓溫)이 그와 함께 술을 마시다가 피해 도망쳤다. 그러자 사혁은 다시 환온의 수하에 있는 장수를 붙잡고 함께 마시면서 말하기를 한 노병이 도망치자 또다시 한 노병을 얻었으니, 또한 무슨 괴이할 것이 있는가.”라 하였다. <晉書 卷79 謝奕列傳>

득득[得得] 일부러, 새삼스러이, 득의의 모양, 의기가 오르는 모양이다.

득록[得鹿] 상고 때 정() 나라의 어떤 사람이 들녘에서 나무를 하다가 놀란 사슴을 만나 잡아죽인 뒤에 다른 사람이 그것을 발견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 엉겁결에 구덩이에 밀어넣어 파초잎으로 덮고 나서 기쁨을 가누지 못하다가 얼마 후에 그곳을 찾아내지 못해 결국 꿈이 되고 말았다는 말에서 나온 것으로, 참과 거짓이 되풀이 되는 인간사의 허무함을 비유한 것이다. <列子 周穆王>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