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도공진의[陶公眞意] 도공은 도연명(陶淵明)을 가리킨다. 그의 음주(飮酒) 20수(首) 중 제5수에 “동쪽 울타리 아래에서 국화를 따다, 유연히 남산을 바라보노라. 날 저물자 산 기운 더욱 좋아져, 날던 새도 서로들 어울려 돌아오네. 이 가운데 참된 뜻이 들어 있나니, 설명하려 하다가도 어느덧 말을 잊네[採菊東籬下 悠然見南山 山氣日夕佳 飛鳥相與還 此中有眞意 欲辨已忘言]”라는 유명한 표현이 나온다. <陶淵明集 卷3>
❏ 도공희공[逃空喜跫] 외로운 처지에서 친지의 방문을 받거나 소식을 전해 듣는 것을 말한다. 장자(莊子) 서무귀(徐無鬼)에 “夫逃虛空者 …… 聞人足音 跫然而喜矣”라고 하였다.
❏ 도공희족음[逃空喜足音] 외진 곳에 사는 사람은 발자국 소리만 들어도 기쁘다는 뜻이다. 장자(莊子) 서무귀(徐無鬼)에 “빈 골짜기에 도망쳐 사는 사람이 잡초가 길을 덮은 그곳에 오래 사노라면 사람 발자국 소리만 들어도 기쁜 법이다.”라고 하였다.
❏ 도관[導官] 궁중에 쌀과 음식을 공급을 맡아 했던 관직의 이름이다.
❏ 도관[道觀] 도관은 도교(道敎)의 사원(寺院)을 가리키는데, 도교에서 성단(星壇)을 두고 성신을 제사 지낸다.
❏ 도관[都官] 한(漢) 나라 때 사예교위(司隷校尉)의 속관(屬官)이었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도독[陶都督]~도도탄불귀[慆慆歎不歸]~도두환[刀頭環] (0) | 2015.04.22 |
---|---|
도년[徒年]~도당씨[陶唐氏]~도도[涂涂] (0) | 2015.04.22 |
도금무보[陶琴無譜]~도기희서진탕탕[道寄姬書陳蕩蕩]~도남붕익능창해[圖南鵬翼凌蒼海] (0) | 2015.04.21 |
도굴계맹[道屈季孟]~도궁제읍지삼숙[道窮齊邑遲三宿]~도균[陶鈞] (0) | 2015.04.21 |
도관무호시[都官無好詩]~도구[菟裘]~도군지주[陶君止酒] (0) | 2015.04.21 |
도경춘부[桃梗春符]~도곡다[陶穀茶]~도공석[陶公石] (0) | 2015.04.21 |
도견상부[道見桑婦]~도경송균[陶逕松筠]~도경청풍[陶徑淸風] (0) | 2015.04.20 |
도강[徒杠]~도건[陶巾]~도검중자형[韜鈐重子荊] (0) | 2015.04.20 |
도가[陶家]~도가도비상도[道可道非常道]~도가명당가주[陶之茗党家酒] (0) | 2015.04.20 |
덕이불견대평년[德彝不見大平年]~덕작달존[德爵達尊]~덕혜봉재진[德慧逢災疹] (0) | 2015.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