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도도독[陶都督] 도잠(陶潛)의 증조부 도간(陶侃)을 말한 것이다. 간은 진(晉)의 명제(明帝) 때 군공(軍功)으로 교주(交州)·광주(廣州) 등 7개 주의 도독(都督)을 역임하고 대장군(大將軍)이 되었다. <晉書 卷六十六>
❏ 도도자개시[滔滔者皆是] 공자가 길을 가다가 자로에게 나루터를 물어 오게 하였는데 장저(長沮)가, 자로가 공자의 문인이란 것을 듣고는 “도도(滔滔)한 것이 천하가 다 이러하니 누구와 변역하겠는가[滔滔者 天下皆是也 而誰以易之]”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論語 微子>
❏ 도도주대화[陶陶鑄大和] 천지간의 충화(沖和)한 기운 속에 평화스러운 심리 상태가 조성되는 것을 말한 것이다.
❏ 도도탄불귀[慆慆歎不歸] 시경(詩經) 빈풍(豳風) 동산(東山)에 “我徂東山 慆慆不歸”라 하였다.
❏ 도도평장[都都平丈] 도도평장은 옛날 삼가촌(三家村)의 무식한 몽학 선생이 아동에게 논어를 가르치면서 공자(孔子)가 주(周) 나라의 예(禮)를 일컬어 ‘욱욱호문(郁郁乎文)’이라고 한 것을 잘못 도도평장으로 읽었다는 데서 온 말로, 성인의 글을 고쳐 읽는다 하여 조롱한 말이다.
❏ 도두[渡頭] 나루터이다.
❏ 도두[刀頭] 돌아온다는 뜻인 환(還)의 은어(隱語)이다. 도두는 칼끝인데, 칼끝에 달린 고리인 환(環)이 돌아온다는 뜻인 환(還)과 음이 같으므로 취해서 쓴 것이다.
❏ 도두[刀斗] 조두(刁斗)로, 군중(軍中)에서 낮에는 밥을 짓는 데 쓰고 밤에는 경보를 알리는 데 쓰는 솥 같이 생긴 것이다.
❏ 도두환[刀頭環] 칼 머리에 고리[環]가 달렸는데, 환(環)은 환(還)과 음이 같으므로 귀환(歸還)한다는 은어(隱語)로 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리[桃李]~도리만천하[桃李滿天下]~도리성혜[桃李成蹊] (0) | 2015.04.23 |
---|---|
도룡[屠龍]~도룡수교경무용[屠龍雖巧竟無用]~도륜[陶輪] (0) | 2015.04.23 |
도로[都盧]~도로무공[徒勞無功]~도록[道籙] (0) | 2015.04.22 |
도려[陶廬]~도령독련향[陶令獨憐香]~도령삼경[陶令三徑] (0) | 2015.04.22 |
도라[兜羅]~도량[跳梁]~도량죽마[跳踉竹馬] (0) | 2015.04.22 |
도년[徒年]~도당씨[陶唐氏]~도도[涂涂] (0) | 2015.04.22 |
도금무보[陶琴無譜]~도기희서진탕탕[道寄姬書陳蕩蕩]~도남붕익능창해[圖南鵬翼凌蒼海] (0) | 2015.04.21 |
도굴계맹[道屈季孟]~도궁제읍지삼숙[道窮齊邑遲三宿]~도균[陶鈞] (0) | 2015.04.21 |
도관무호시[都官無好詩]~도구[菟裘]~도군지주[陶君止酒] (0) | 2015.04.21 |
도공진의[陶公眞意]~도공희족음[逃空喜足音]~도관[都官] (0) | 201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