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논점일탈[論點逸脫] 논설의 요지를 벗어남을 말한다.
❏ 농가[農家] 허행(許行)이다.
❏ 농가성진[弄假成眞] 장난삼아 한 것이 진심으로 한 것 같이 되었다는 말이다.
❏ 농단[壟斷] 깎아지른 듯 우뚝 솟아 있는 높은 언덕을 말한다. 후에 혼자 이익을 독점하는 것을 뜻하는 말이 되었다.
❏ 농락[籠絡] 남을 제 마음대로 이용한다는 뜻의 고사성어이다. ‘농(籠)’은 죽과 용의 결합으로 흙을 담는 삼태기였다. 하늘을 마음대로 나는 용처럼 물건을 담아 자유자재로 움직이고자 하였던 데서 만든 글자다. 후에는 조롱(鳥籠), 등롱(燈籠), 농구(籠球), 농성(籠城) 등 대나무가 아니라도 얽어서 만든 것으로 물건을 담고 가두는 기능을 가진 것이라면 모두 농이라고 했다. ‘락(絡)’은 실로 제각기 흩어져 있는 물건을 얽어맨 것이다. 연결하여 얽어매는 것이 연락, 일맥상통하도록 얽혀 있는 것이 맥락, 오장육부에 거미줄처럼 얽혀 있는 것이 경락이다. 따라서 롱락은 ‘가두고 얽매여 놓는 것’, 곧 구속이나 제한의 뜻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농락은 ‘제 마음대로 주무루는 것’을 뜻하게 되었다. 대체로 천자가 얄팍한 기교로 신하나 백성을 속이고 놀리는 것을 말했다. 방효유(方孝孺)는 명나라 초기의 대문장가이자 충신이었다. 혜제(惠帝)에게 유명한 심려론(深廬論)을 써 치국책을 밝혔다. 그에 의하면 훌륭한 통치자는 덕을 닦고 천심을 닦기 위하여 노력해야지 얕은 잔꾀로 백성을 농락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그런 만큼 그는 남으로부터 농락당하는 것도 극도로 싫어했다. 후에 연왕(燕王)이 혜제를 죽이고 등극하니 이가 성조(成祖:永樂帝)이다. 성조는 민심을 수습(收拾)하기 위해 그의 문장을 빌리고자 했으나 그는 단호하게 거절하였다. 결국 본인은 물론 삼족을 멸하는 참혹한 벌을 받고 말았다. 롱락에 대항한 대가는 그만큼 무서웠다.
❏ 농롱[曨曨] 어스레한 모양, 어둠침침한 모양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장인[農丈人]~농조추[弄鳥雛]~농주인[弄珠人] (0) | 2015.03.22 |
---|---|
농암[農巖]~농와지경[弄瓦之慶]~농장성[農丈星] (0) | 2015.03.22 |
농수[隴水]~농승[聾丞]~농아전[籠鵝全] (0) | 2015.03.22 |
농상경[隴上耕]~농서공자증미진[隴西公子曾迷津]~농서자[隴西子] (0) | 2015.03.21 |
농리[瀧吏]~농말홀횡촌[濃抹忽橫村]~농산[隴山] (0) | 2015.03.21 |
녹학[祿鶴]~논독[論篤]~논사[論思] (0) | 2015.03.21 |
녹평[鹿苹]~녹피관[鹿皮冠]~녹피옹[鹿皮翁] (0) | 2015.03.21 |
녹음방초[綠陰芳草]~녹의사자[綠衣使者]~녹이상제[綠駬霜蹄] (0) | 2015.03.20 |
녹준경북해[綠樽傾北海]~녹창[綠槍]~녹태책[鹿貽幘] (0) | 2015.03.20 |
녹장[綠章]~녹주건[漉酒巾]~녹주원[綠珠冤] (0) | 2015.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