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녹문[鹿門] 녹문은 호북성(湖北省) 양양현(襄陽縣)에 있는 산 이름으로, 후한(後漢) 때 방덕공(龐德公)이 처자식을 데리고 녹문산에 올라가 약초를 캐다가 돌아오지 않았다. 후대에는 이로 인해서 은자가 사는 곳을 지칭하게 되었다.
❏ 녹문[鹿門] 후한(後漢)의 은자(隱者)로 녹문산(鹿門山)에 들어가 약초를 캐며 살았던 방덕공(龐德公)을 가리킨다. 그는 한 번도 도회지에 발을 들여놓지 않은 채, 유표(劉表)의 간절한 요청에도 끝내 응하지 않고서 처자를 데리고 녹문산에 들어가 약초를 캐며 살다 생을 마쳤다. <尙友錄 1>
❏ 녹문경[鹿門耕] 한(漢)나라 말기의 방덕공(龐德公)과 당(唐)의 맹호연(孟浩然)을 이른다. 녹문산(鹿門山)은 중국 호북성(湖北省) 양양현(襄陽縣)에 있는 산인데, 한의 방덕공이 그 산에 들어가 약을 캐면서 돌아오지 않았고, 당의 맹호연도 그 산에 가서 숨어살았다.
❏ 녹문계[鹿門計] 세파(世波)에 휩쓸리지 않고 자신의 신념을 지키며 온전한 삶을 누리는 것을 말한다. 후한(後漢) 방덕공(龐德公)이 형주 자사(荊州刺史) 유표(劉表)의 간곡한 요청도 뿌리치고서, 처자를 데리고 녹문산(鹿門山)으로 들어가 약초를 캐며 살았던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後漢書 卷83 逸民列傳 龐公傳>
❏ 녹문기[鹿門期] 은거한다는 뜻이다. 녹문은 호북성(湖北省) 양양현(襄陽縣)에 있는 산 이름으로, 후한(後漢) 때 방덕공(龐德公)이 처자식을 데리고 녹문산에 올라가 약초를 캐다가 돌아오지 않았다. 후대에는 이를 인해서 은자가 사는 곳을 지칭하게 되었다.
❏ 녹문방[鹿門龐] 방공은 후한(後漢) 때의 은사(隱士)로 현산(峴山) 남쪽에서 농사를 짓고 살았는데, 일찍이 형주자사(荊州刺史) 유표(劉表)가 그를 찾아가 벼슬하기를 권했으나 듣지 않았고, 뒤에는 마침내 처자(妻子)를 다 거느리고 녹문산으로 들어가 약(藥)을 캐면서 끝내 나오지 않았다. <後漢書 卷八十三>
❏ 녹문산[鹿門山] 중국 호북(湖北) 양양현(襄陽縣)에 있는 산인데, 한말(漢末)에 방덕공(龐德公)이 처자를 거느리고 녹문산에 올라가 약을 캐며 돌아오지 않았다 한다. <相友錄 卷一> 당 나라 맹호연(孟浩然)이 또 그곳에 은거하였다 하여 은거지의 대명사로 쓰인다.
❏ 녹문옹[鹿門翁] 후한(後漢) 때의 은사 방덕공(龐德公)을 가리킨다. 그는 도량이 넓고 물욕이 없어, 당초부터 처자와 함께 농사를 짓고 살다가, 뒤에는 유표(劉表)의 간절한 요청에도 끝내 응하지 않고서 끝내 처자를 거느리고 녹문산(鹿門山)으로 들어가 약을 캐며 다시 돌아오지 않았다고 한다. <後漢書 卷八十三>
❏ 녹문은[鹿門隱] 후한(後漢)의 방덕공(龐德公)이 부귀영화를 마다하고 처자식과 함께 녹문산(鹿門山)으로 들어가 약초나 캐면서 영원히 세속으로 돌아오지 않았다 한다. <尙友錄 卷一>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녹장[綠章]~녹주건[漉酒巾]~녹주원[綠珠冤] (0) | 2015.03.20 |
---|---|
녹옥수[綠玉樹]~녹원[鹿園]~녹위이추[鹿危而趨] (0) | 2015.03.20 |
녹야별업[綠野別業]~녹야장[綠野庄]~녹엽성음[綠葉成陰] (0) | 2015.03.20 |
녹시[鹿豕]~녹야[綠野]~녹야당[綠野堂] (0) | 2015.03.19 |
녹미[鹿尾]~녹사불택음[鹿死不擇音]~녹수홍련[綠水紅蓮] (0) | 2015.03.19 |
녹명[鹿鳴]~녹명연[鹿鳴宴]~녹명편[鹿鳴篇] (0) | 2015.03.19 |
녹림[綠林]~녹마불변[鹿馬不辨]~녹마전대[鹿馬專對] (0) | 2015.03.19 |
녹대[鹿臺]~녹도[籙圖]~녹린[綠鱗] (0) | 2015.03.18 |
녹괴[綠槐]~녹기금[綠綺琴]~녹녹[碌碌] (0) | 2015.03.18 |
노호[老胡]~노후반[魯侯泮]~녹거귀[鹿車歸] (0) | 201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