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내사황감[內史黃甘] 내사는 회계내사(會稽內史)를 지낸 왕희지를 말하고 황감은 그의 황감첩(黃甘帖)을 말한다.
❏ 내성[奈城] 내성은 안동(安東)의 속현(屬縣) 이름이다.
❏ 내성[㮈城] 강원도 평창군(平昌郡) 동쪽 17리에 있는 미탄현(味呑峴)에 자연석(紫硯石)이 유명하다. <輿覽 平昌>
❏ 내성불구[內省不疚] 마음 속에 조금도 부끄러울 것이 없음을 이른다. 즉 마음이 결백함을 뜻한다.
❏ 내성외왕[內聖外王] 안에는 성인(聖人)의 덕을 쌓고 밖에는 왕자의 도를 행함을 이른다.
❏ 내소[來蘇] 와서 살려주기를 바라는 뜻이다. 서경(書經) 중훼지고(仲虺之誥)에 “우리 임금 오시니 우리를 살려주겠지[后來其蘇]”라고 하였다.
❏ 내신인투수[來信人投水] 진(晉) 나라 때 은선(殷羨)이 예장 태수(豫章太守)가 되어 떠날 때 서울 사람들이 부친 편지가 1백여 통이나 되었는데, 석두(石頭)에 이르러 모두 물 속에 던지고는 말하기를 “뜰 놈은 뜨고 가라앉을 놈은 가라앉거라. 은홍교(殷洪喬)는 편지나 전달하는 우체부는 될 수 없다.”라고 하였다는 이야기가 있다.
❏ 내씨[來氏] 내씨는 명(明) 나라 때의 학자인 내지덕(來知德)을 이른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혁[來革]~냉금전[冷金箋]~냉랭[冷冷] (0) | 2015.03.11 |
---|---|
내정채복[萊庭綵服]~내청외탁[內淸外濁]~내탕금[內帑金] (0) | 2015.03.11 |
내의무[萊衣舞]~내의지덕[來儀之德]~내전[內典] (0) | 2015.03.11 |
내원당[內願堂]~내윤외랑[內潤外朗]~내의거명목[萊衣詎瞑目] (0) | 2015.03.11 |
내열[內熱]~내외거[內外擧]~내우외환[內憂外患] (0) | 2015.03.11 |
내사[內史]~내사[內賜]~내사유상불계진[內史流觴祓稧辰] (0) | 2015.03.10 |
내무증[萊蕪甑]~내복[萊服]~내빈삼천[騋牝三千] (0) | 2015.03.10 |
내대[褦襶]~내동마재서[來東馬載書]~내모[來暮] (0) | 2015.03.10 |
내공[乃公]~내구붕[耐久朋]~내농작[內農作] (0) | 2015.03.10 |
내가[內家]~내각시[內各氏]~내경경[內景經] (0) | 201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