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덕산 스님이 탁발하다
-[제13칙]덕산탁발 -
하루는 덕산 선감 선사가 발우를 들고 당으로 내려갔다. 설봉이 이를 보고 말하였다.
“이 노장이 종도 아직 치지 않았고 북도 아직 울리지 않았는데 발우를 들고 어디를 가는가!”
덕산 선사는 말없이 방으로 되돌아갔다. 설봉이 암두에게 이 말을 하니 암두가 말하였다.
“대단하신 덕산도 말후구를 모르는구려.”
덕산 선사가 이 말을 듣고 시자를 시켜 암두를 불러놓고 말하였다.
“네가 나를 긍정하지 않는가?”
암두는 스님의 귀에 입을 대고 가만히 그 뜻을 말하였다. 덕산 선사께서 아무 말 없다가 다음 날 법상에 오르셨는데 과연 다른 때와 그 태도가 달랐다. 암두가 법문하는 방 앞에 가서 손뼉을 치고 크게 웃으며 말하였다.
“기쁘도다. 우리 노스님이 말후구를 아셨다. 이후로는 천하의 누구도 그를 어쩌지 못할 것이다.”
<평창>---------------------------------
만약 이것이 말후구라면 덕산과 암두 둘 다 꿈에도 말후구 도리는 보지 못했다. 알고 보면 덕산, 설봉, 암두 모두가 한 누각의 꼭두각시니라.
<송>---------------------------------
최초구를 깨달아 얻으면
문득 말후구를 알리라
말후구니 최초구니 하면
어느 한 구도 모르는 자이니라
-[第13則]德山托鉢 -
德山一日托缽下堂, 見雪峰問, 者老漢鐘未鳴鼓未響, 托缽向甚處去, 山便回方丈. 峰擧似巖頭. 頭云, 大小德山未會末後句. 山聞. 令侍者喚巖頭來, 問曰, 汝不肯老僧那. 巖頭密啓其意. 山乃休去. 明日陞座, 果與尋常不同. 巖頭至僧堂前, 拊掌大笑云, 且喜得, 老漢會末後句. 他後天下人, 不奈伊何.
無門曰, 若是末後句, 巖頭德山俱未夢見在. 撿點將來, 好似一棚傀儡.
頌曰. 識得最初句, 便會末後句, 末後與最初, 不是者一句.
'옛글[古典]산책 > 무문관[無門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산의 삼 세근 [무문관 제18칙 동산삼근] (0) | 2015.03.01 |
---|---|
국사가 세 번 부르다 [무문관 제17칙 국사삼환] (0) | 2015.03.01 |
운문의 종소리 [무문관 제16칙 종성칠조] (0) | 2015.02.27 |
동산의 방망이 육심대 [무문관 제15칙 동산삼돈] (0) | 2015.02.27 |
남천이 고양이를 베다 [무문관 제14칙 남천참묘] (0) | 2015.02.27 |
서암이 주인공을 부르다 [무문관 제12칙 암환주인] (0) | 2015.02.27 |
조주가 암주를 시험하다 [무문관 제11칙 주감암주] (0) | 2015.02.26 |
청세의 외롭고 가난함 [무문관 제10칙 청세고빈] (0) | 2015.02.26 |
앎과 깨달음 [무문관 제9칙 대통지승] (0) | 2015.02.26 |
수레를 만들고 바퀴를 떼어내면 [무문관 제8칙 해중조차] (0) | 2015.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