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낙영[落英] 떨어지는 꽃. 낙화(落花), 낙홍(落紅).

낙예십순[洛汭十旬] ()의 임금 태강(太康)이 낙예(洛汭)에 놀러 가서 백일(百日)이나 돌아오지 아니하였다 한다.

낙월[駱越] 고대 만이족(蠻夷族)의 이름으로, 운남(雲南)과 귀주(貴州) 일대에 살았다. 옛날 백월(百越)의 하나로 지금의 전금계(滇黔桂) 등 여러 성() 사이에 있었다.

낙월공량구[落月空樑句] 두보(杜甫)가 이백(李白)을 그리워하며 지은 시인 몽이백(夢李白)달빛이 들보에 가득하니 그대의 얼굴을 보는 듯[落月晩屋梁 猶疑見顔色]”이라 하였다.

낙월만옥량[落月滿屋樑] 두보(杜甫)가 친구 이백(李白)을 생각하는 시에 떨어지는 달이 들보에 가득하니, 그대의 안색을 보는가 의심하네[落月滿屋樑猶疑見顔色]”라는 구절이 있다.

낙읍[洛邑] 상주(尙州)를 낙읍이라 하였는데, 낙동강(洛東江) 고을이란 말이다.

낙읍문원[洛邑問袁] 후한(後漢) 원안(袁安)의 고사이다. 마침 큰 눈이 내려 길[]이 넘게 쌓였는데, 낙양 영(洛陽令)이 순찰 차 나왔다가 그의 문 앞에 당도해 보니 드나든 발자국이 보이지 않았다. 이미 죽었으리라 여기며 사람을 시켜 눈을 치우고 들어가 보니, 그가 뻣뻣이 누워 있었다. “왜 나오지 않았느냐.”고 묻자 큰 눈이 내려 사람들이 모두 굶어 죽었으니 나 혼자만 남에게 도움을 구할 수 없다.”라고 대답하였다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