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 관보[關輔] 관중(關中)의 삼보(三輔), 즉 우부풍(右扶風좌풍익(左馮翊경조윤(京兆尹)을 가리키는데, 전하여 도성과의 가까운 지역을 이른 말이다.

  • 관보[關輔] 모두 경사(京師)에 가까운 지역으로 관중(關中)과 우부풍(右扶風좌풍익(左馮翊경조윤(京兆尹)의 삼보(三輔)를 가리킨다.

  • 관부기시[灌夫棄市] 관부는 한대(漢代)의 무장(武將)으로, 무제(武帝) 때에 오() 나라를 쳐 용명을 떨쳤으나, 뒤에 실세(失勢)한 두영(竇嬰)과 날마다 교유(交游)했으며, 위인이 호협(豪俠)하고 강직(剛直)하여 술주정을 잘했다. 뒤에 승상전분()의 좌석에서 주정을 부리며 좌중을 욕하여 분의 노여움을 사서 온 가족이 처형되었다.

  • 관비회[管飛灰] 예전에 갈대 태운 재를 율관 속에 넣어 밀실에 두고 기후(氣候)를 조사하였는데, 추위가 닥치면 재가 난다 한다. 고사성어고(古事成語考) 세시(歲時)동지(冬至)가 되면 갈대의 재가 날고 입추(立秋)가 되면 오동잎이 떨어진다.”라고 한 말이 있다.

  • 관사[關祠] 삼국(三國) 때의 관우(關羽)를 모신 사당이다.

  • 관사수능료[官事誰能了] () 나라 양제(楊濟)가 부함(傅咸)에게 자식이 바보 같아야만 관청의 일을 면할 수가 있으니, 관청 일은 누구라도 쉽게 면할 수가 없는 법이다[生子癡 了官事 官事未易了也]”라고 글을 보낸 고사가 전한다. <晉書 卷47 傅咸傳>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