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하탁[荷橐] 띠에 차는 붓주머니. 하포(荷包)와 같은 것으로 조그마한 주머니를 말한다. 통속편(通俗編)에 구양수(歐陽脩)의 글에 ‘자하가 주머니에 드리워졌다[紫荷垂橐]’는 말을 인용하여 “아마 후세의 하포와 같은 것인가 보다.”라고 하였다.
❏ 하탐적수강[下探赤水强] 장자(莊子) 천지(天地)에 “황제(黃帝)가 적수에 노닐다가 구슬을 잃어버리고 지(知)를 시켜 찾게 하였는데 찾지 못했다.”라고 하였다.
❏ 하탑[下榻] 한(漢)나라 진번(陳蕃)이 예장태수(豫章太守)로 있을 때에, 서치(徐穉)가 오면 탑(榻)을 내려서 앉게 하고, 그가 가고 나면 다시 그 탑을 달아두며 서치가 또 오기를 기다렸다.
❏ 하탑빈붕지[下榻賓朋至] 빈객(賓客)을 맞아 머물게 한 데 비유한 말이다. 후한(後漢) 때 진번(陳蕃)이 예장 태수(豫章太守)로 있으면서, 다른 빈객은 잘 접견하지 않았는데, 유독 서치(徐穉)가 오면 특별히 한 탑(榻)을 내려 깔아주고 그가 돌아가면 다시 그 탑을 매달았으므로 이른 말이다. <後漢書 徐穉傳>
❏ 하택거[下澤車] 하택거는 마원(馬援)이 향리(鄕里)로 돌아온 후에 항상 타고 다니던 수레로서, 전간(田間)의 진펄을 마음대로 다닐 수 있는 가벼운 수레이다.
❏ 하택지거관단마[下澤之車款段馬] 고향 시골의 편안한 생활을 뜻하는 말이다. 후한(後漢)의 마원(馬援)이 고생스럽게 남방을 정벌하면서 “하택거(下澤車)에 조랑말을 매어 타고서 향리에서 좋은 사람이라는 말을 들으며 살 수만 있다면 얼마나 좋겠는가.”라는 말을 한 고사가 있다. <後漢書 馬援傳>
❏ 하토사방[下土四方] 천하를 말한다.
❏ 하통[荷筩] 연잎의 한가운데 오목한 곳에 술을 담아 마시면서 이를 술통에 비유하여 말한 것이다.
❏ 하퇴[夏頧] 하 나라 때의 모자 이름이다.
❏ 하패[霞佩] 신선(神仙)이 차는 옥을 말하는데, 전하여 패옥을 고상하게 이르는 말이다.
❏ 하평[河平] 한 성제(漢成帝)의 연호이다.
❏ 하포[夏浦] 하구. 지금의 한구.
❏ 하표[霞標] 손작(孫綽)의 유천태산부(遊天台山賦)에 “적성의 노을을 들어서 표지를 세운다.[赤城霞擧而建標]”고 한 데서 나온 말로, 붉은 노을을 가리킨다. <文選 卷6>
❏ 하풍죽로[荷風竹露] 하풍 죽로(荷風竹露)는 연꽃 바람과 대나무의 이슬을 말하니, 당 나라 맹호연(孟浩然)의 시구(詩句)를 말한다. 그의 하일남정회신대(夏日南亭懷辛大) 시에 “연꽃에서 바람 부니 향기 그윽하고, 대잎에서 이슬 떨어지니 소리 맑아라.[荷風送香氣 竹露滴淸響]”라고 하였다.
❏ 하피[霞帔] 도사(道士)의 옷, 또는 부인(婦人)의 예복(禮服)을 말한다.
❏ 하필성장[下筆成章] 붓을 내리면 문장을 이룸. 아주 뛰어난 문장가를 말한다.
❏ 하필약유신[下筆若有神] 두보(杜甫)의 시 증위좌승(贈韋左丞)에 “만권의 책을 독파하고 나니 붓을 들어 글을 짓는 것이 신들린 듯하더라”하여, 자신의 공부를 술회하였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서[鶴書], 학수경[鶴殊脛], 학습수비[學習數飛], 학야[鶴野], 학여불급[學如不及], 학여전[鶴與錢] (0) | 2024.04.11 |
---|---|
학무[鶴舞], 학부[學蔀], 학부[涸鮒], 학사[壑蛇], 학사연[學士宴], 학사제염[學舍虀鹽], 학상선[鶴上仙] (1) | 2024.04.11 |
학교[鶴翹], 학구소붕[鷽鳩笑鵬], 학두서[鶴頭書], 학랑배조[謔浪排調], 학려진병산[鶴唳秦兵散], 학령[鶴翎] (0) | 2024.04.03 |
하후탄주[夏后呑珠], 하휴간[夏畦艱], 학가[鶴駕], 학개[鶴蓋], 학경[鶴經], 학경불가단[鶴脛不可斷] (0) | 2024.04.02 |
하학상달[下學上達], 하해지택[河海之澤], 하혜관비[下惠官卑], 하황[蝦荒], 하후기의[夏侯妓衣] (2) | 2024.03.29 |
하지장[賀知章], 하징구곡[河澄九曲], 하채[下蔡], 하청[河淸], 하충남견[夏蟲南犬], 하침대무[河沈大巫] (0) | 2024.03.27 |
하자성혜[下自成蹊], 하장[霞漿], 하정주황[夏鼎周璜], 하조대[河趙臺], 하조장인[荷蓧丈人], 하주[賀鑄] (0) | 2024.03.26 |
하육[夏育], 하육[何肉], 하음[何陰], 하의[荷衣], 하의치[荷衣緇], 하이[蝦夷], 하일진현[夏日晉賢] (0) | 2024.03.22 |
하옥[夏屋], 하옥[瑕玉], 하위[河渭], 하유[下帷], 하유[瑕瑜], 하유동생[下帷董生], 하유불잠출[下帷不蹔出] (0) | 2024.03.21 |
하양만도리[河陽滿桃李], 하양부[河陽賦], 하양일현화[河陽一縣花], 하연[賀燕], 하엽배[荷葉杯] (0) | 2024.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