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함양[咸陽] 진(秦) 나라 서울이었는데 항우(項羽)가 불을 놓아서 모두 태워버렸다.

함영[含景] 초목(草木)의 꽃.

❏ 함영[咸英] 황제(黃帝)가 만든 음악인 함지(咸池)와 제곡(帝嚳)이 만든 음악인 오영(五英)을 합칭한 말이다.

함우주주[銜羽周周] 주주(周周)는 새의 이름인데, 이 새는 머리가 무겁기 때문에 하수(河水)에서 물을 마시려면 반드시 넘어지므로, 언제나 깃을 입에 물고 물을 마신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함유일[咸有一] 함유일 고려(高麗) 명종(明宗) 때 공부상서(工部尙書)를 지냈는데, 그는 일찍이 의종(毅宗) 때 내시(內侍)에 들어가 교로도감(橋路都監)을 관장하면서 무당들을 교외로 추방하고, 음사(淫祠)를 불지르는 등 미신 타파에 힘썼다.

함이[含飴] 후한(後漢)의 마황후(馬皇后)가 “나는 엿이나 먹으면서 손자나 데리고 놀겠다. 더 이상 정사에는 간여하고 싶지 않다.”라고 한 데서 나온 말로, 늙은이의 만년의 안락한 생활을 뜻한다. 엿을 머금는다는 것은 곧 말을 하지 않겠다는 뜻으로도 쓰인다. <後漢書 馬皇后紀>

함인시인[函人矢人] 함인은 갑옷과 투구를 만드는 사람이고, 시인은 화살을 만드는 사람인데, 맹자(孟子)가 이르기를 “시인이 어찌 함인보다 인하지 않으랴마는, 시인은 오직 사람을 상하지 못할까 걱정하고, 함인은 오직 사람을 상할까 걱정한다.[矢人豈不仁於函人哉 矢人唯恐不傷人 函人唯恐傷人]”라고 하였다. <孟子 公孫丑上>

함장[函丈] 스승에 대한 경칭으로 스승이 제자 가르치는 자리를 말한다. 함(函)은 용납한다는 뜻이니 스승과 제자의 앉은자리의 거리가 한 발쯤 된다는 말이다.

함장[含章] 주역(周易) 곤괘(坤卦)에 함장(含章)이란 말이 있는데, 아름다움[章]을 포함[含]한다는 뜻이다.

함장석[函丈席] 지팡이를 용납하는 자리로, 후에 스승을 함장이라 일컬었으니 강석(講席)이라는 뜻과 같다.

함장전[含章殿] 궁궐(宮闕)의 내전(內殿)을 말한다. 송 무제(宋武帝)의 딸 수양공주(壽陽公主)가 함장전 처마밑에 누워있는데 매화(梅花)가 공주의 이마 위에 떨어져 오출화(五出花)를 이루었다 한다.

함제[含睇] 정을 품고 곁눈질하다.

 

반응형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간[行間], 항기궁자미[恒飢窮子美], 항남[巷南], 항룡유회[亢龍有悔], 항백[巷伯], 항북유[巷北遊]  (1) 2024.06.18
합잠[盍簪], 합종연횡[合縱連橫], 합좌소[合坐所], 합포환주[合浦還珠], 합합[嗑嗑], 합환전[合歡殿]  (0) 2024.06.17
합고[合考], 합구초[合口椒], 합궁[合宮], 합근[合巹], 합덕[合德], 합승거[合乘車], 합영[合穎]  (0) 2024.06.13
함함[嗛嗛], 함향기초[含香起草], 함향봉군[含香奉君], 함화록[㗸花鹿], 함휼[銜恤], 함흥차사[咸興差使]  (0) 2024.06.11
함지구소[咸池九韶], 함지욕일[咸池浴日], 함충[銜蟲], 함포[含哺], 함포고복[含哺鼓腹]  (0) 2024.06.10
함망해[銜芒蟹], 함매[銜枚], 함벽[銜璧], 함분축원[含憤蓄怨], 함사사영[含沙射影], 함삭[銜索], 함소리[含消梨]  (1) 2024.06.03
함관자기[函關紫氣], 함궐[銜橛], 함금[緘金], 함노안[銜蘆雁], 함도천묘[含桃薦廟], 함로이자방[銜蘆以自防]  (0) 2024.05.30
할고충복[割股充腹], 할마[瞎馬], 할목무전[割目無全], 할육충복[割肉充腹], 함거교치[檻車膠致], 함계설향[含雞舌香]  (1) 2024.05.29
한혈기[汗血驥], 한혈마[汗血馬], 한형주[韓荊州], 한화야초[閑花野草], 한후[豻侯], 할계우도[割鷄牛刀]  (0) 2024.05.28
한팽저해[韓彭菹醢], 한풍[寒風], 한한[暵暵], 한항금속[寒缸金粟], 한해[瀚海], 한해소조[韓海蘇潮]  (0) 2024.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