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한죽[汗竹] 한죽(汗竹)은 사책(史冊)을 가리킨다. 한청(汗靑).

한중[漢中] 섬서성(陝西省)의 서남쪽을 흐르는 한강(漢江; 양자강의 큰 지류) 북안의 험한 땅으로서 진(秦)나라를 멸한 유방이 항우로부터 분봉(分封)받아 한왕(漢王)을 일컫던 곳이다.

 한중[漢中] 한중은 익주(益州)로 현재의 사천성(四川省)을 이른다.

한중[韓衆] 제인(齊人)으로 단약을 먹고 신선이 되었다 한다.

한중진미[閒中眞味] 한가한 가운데 깃드는 참다운 맛을 이른다.

한진[韓鎭] 한진은 한(韓) 나라 진산(鎭山)으로 양산(梁山)을 말한다. 주 선왕(周宣王) 때 제후인 한후(韓侯)가 재능이 출중하여 아래에서 주위의 소수 부족을 단결시키고 낙후된 지역을 개발하였다고 한다. 시경(詩經) 大雅 韓奕에 “하늘 높이 솟은 양산에 하우(夏禹)께서 다스렸는데 한후가 밝은 덕 지녀 천자는 글에게 사명을 내렸네.[奕奕梁山 維禹甸之 有倬其道 韓侯受命]”라고 하였다. 혁(奕)과 혁(赫)자는 상통한다.

한척삼[漢尺三] 우리나라의 법령을 말한다. 한 나라 때 석 자 되는 죽간(竹簡)에 법령을 기록하였다.

한청[汗靑] 사책(史策)을 가리킨다. 옛날 종이가 없어 대쪽에 글을 쓸 때, 먼저 대를 불에 지져 대의 기름과 파란 빛을 빼어 글씨도 쓰기 좋고 또 오래가도록 하였다. 이것을 죽간(竹簡) 또는 한청이라 하였는데 후세에는 사책의 별명으로 통용되었다.

한충무[韓忠武] 남송의 명장 한세충(韓世忠)이 죽은 후 ‘충무(忠武)’라는 시호가 내려져 그렇게 불렀다.

한칠국[漢七國] 한 경제(漢景帝) 때에 연합하여 반란을 일으킨 일곱 나라. 즉 오(吳)·초(楚)·조(趙)·교서(膠西)·교동(膠東)·치천(菑川)·제남(濟南)을 이른다.

한침진경[漢寢震驚] 후한서(後漢書) 권7 효환제기(孝桓帝紀)에 “6월 을묘일에 헌릉(憲陵)의 침옥(寢屋)에 천둥이 쳤다.”고 하였는데, 그 주(注)에 “이때 양 태후(梁太后)가 섭정하고 있었는데 그 오빠 양기(梁冀)가 권세를 멋대로 부리면서 이고(李固)와 두교(杜喬)를 억울하게 죽이자 천하가 원통하게 생각하였다.”라고 하였다.

 

반응형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망해[銜芒蟹], 함매[銜枚], 함벽[銜璧], 함분축원[含憤蓄怨], 함사사영[含沙射影], 함삭[銜索], 함소리[含消梨]  (1) 2024.06.03
함관자기[函關紫氣], 함궐[銜橛], 함금[緘金], 함노안[銜蘆雁], 함도천묘[含桃薦廟], 함로이자방[銜蘆以自防]  (0) 2024.05.30
할고충복[割股充腹], 할마[瞎馬], 할목무전[割目無全], 할육충복[割肉充腹], 함거교치[檻車膠致], 함계설향[含雞舌香]  (1) 2024.05.29
한혈기[汗血驥], 한혈마[汗血馬], 한형주[韓荊州], 한화야초[閑花野草], 한후[豻侯], 할계우도[割鷄牛刀]  (0) 2024.05.28
한팽저해[韓彭菹醢], 한풍[寒風], 한한[暵暵], 한항금속[寒缸金粟], 한해[瀚海], 한해소조[韓海蘇潮]  (0) 2024.05.27
한절치월[漢節馳越], 한정부[閒情賦], 한제음풍[漢帝吟風], 한제횡분악[漢帝橫汾樂], 한주상림[漢主上林]  (0) 2024.05.22
한일참광정[寒日慘光晶], 한자애련[韓子愛聯], 한자파리완[韓子玻瓈盌], 한적[漢賊]  (0) 2024.05.21
한원[翰院], 한월사편[韓鉞謝篇], 한유[韓柳], 한유[韓愈], 한음[漢陰], 한음기심[漢陰機心]  (0) 2024.05.17
한양역력앵무주漢陽歷歷鸚鵡洲, 한언환韓嫣丸, 한예용라漢隷龍拏, 한옥寒玉, 한와漢瓦, 한우충동汗牛充棟  (0) 2024.05.13
한식상묘[寒食上墓], 한신도앵[韓信渡甖], 한실의관[漢室衣冠], 한아[寒鴉], 한안[汗顔], 한안국[韓安國]  (0) 2024.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