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표재[俵災] 재상(災傷)을 입은 전결(田結)을 사정(査定)하는 일과 재상을 입은 전결에 대하여 면세율(免稅率)을 나누어 매겨 주는 일. 흉년 든 해에 재상액(災傷額)을 분배하는 일. 감사가 호조(戶曹)에서 배당한 재결수(災結數)에 의하여 일정한 수량의 재결을 각도에 분배하면 수령들은 그 분배된 수량에 의하여 관내의 전지에 재결을 배당하니 이것을 표재라 하며 감사가 각 군현에 재결을 나누어 주는 것도 표재라 한다.
❏ 표조[驃駣] 표조는 황백색 준마의 이름이다.
❏ 표종[表從] 고모(姑母)의 자녀를 이르는 말이다. 지금 세속에서 고모의 자녀를 내종(內從)이라 하고, 외사촌을 표종(表從)이라 하는데, 옛날 문자에는 흔희 고모의 아들도 표종이라고 하였다.
❏ 표지[標枝] 높은 가지를 말한다. 장자(莊子) 천지(天地)에 “임금은 높은 가지와 같고 백성은 들사슴과 같다.[上如標枝 下如野鹿]”고 하였다.
❏ 표지야록[標枝野鹿] 장자(莊子) 천지(天地)에 “지덕(至德)의 세상에는 어진이를 숭상하지 않고 능한 자를 부리지 않았으며, 윗사람은 높이 솟은 나뭇가지처럼 무심하게 위에 있을 뿐이요, 백성들은 무심히 들판에 뛰노는 사슴과 같았다.[上如標枝 民如野鹿]”라고 한 데서 온 말로, 즉 태평 성대를 이른 말이다.
❏ 표직[豹直] 휴일(休日)에 혼자서 숙직하는 것을 이른 말이다.
❏ 표표[彯彯] 끈이 치렁거리는 모양, 가볍게 날리는 모양.
❏ 표표[儦儦] 사람이나 짐승이 많은 모양, 성한 모양 .
❏ 표표[彪彪] 아롱진 문체가 있는 모양.
❏ 표표[嘌嘌] 절도가 없는 모양.
❏ 표풍[飄風] 회오리 바람.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림옥로[楓林玉露], 풍마우[風馬牛], 풍마우세[風磨雨洗], 풍박[風搏], 풍발[豊綍], 풍백[風伯] (1) | 2024.03.07 |
---|---|
풍랑출무거[馮郞出無車], 풍뢰[風雷], 풍류[風流], 풍류진[風流陣], 풍륜[風輪], 풍륭[豐隆] (0) | 2024.03.07 |
풍당[馮唐], 풍대[豐臺], 풍대특[豐大特], 풍도중규명[風饕衆竅鳴], 풍두[豊頭], 풍등[馮鄧] (0) | 2024.03.07 |
풍구[風甌], 풍군[馮君], 풍궁[馮弓], 풍근망질[風斤亡質], 풍년[豐年], 풍노[風爐], 풍뇌상[風雷象] (1) | 2024.03.07 |
품자매[品字梅], 품휘[品彙], 풍각[風角], 풍각타[風脚駝], 풍간요설[豐干饒舌], 풍교반야종[楓橋半夜鍾] (0) | 2024.03.07 |
표옹[豹翁] , 표요[嫖姚], 표은[豹隱], 표음안빈[瓢飮安貧], 표인[杓人], 표일변[豹一變] (1) | 2024.03.06 |
표사유피인사유명[豹死留皮人死留名], 표상[縹緗], 표연[瓢淵], 표연어풍[飄然御風] (1) | 2024.03.06 |
표낭[縹囊], 표도[豹韜], 표독[豹纛], 표륜[飆輪], 표리부동[表裏不同], 표모[漂母], 표반[豹斑] (0) | 2024.03.06 |
표각[豹脚], 표거[杓車], 표거[飆車], 표견도[豹犬韜], 표경[漂梗], 표곤[藨蔉] (0) | 2024.03.06 |
폭건반대[幅巾鞶帶], 폭건한탁[幅巾澣濯], 폭소[爆笑], 폭원[幅員], 폭의[曝衣], 폭진[暴殄] (0) | 2023.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