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팔조[八條] 격물(格物)·치지(致知)·성의(誠意)·정심(正心)·수신(修身)·제가(齊家)·치국(治國)·평천하(平天下)의 8조목을 말한다.
❏ 팔조[八條] 후한서(後漢書) 남이전(南夷傳)에 “기자가 예의(禮義)와 전잠(田蠶)으로 가르치고, 또 팔조(八條)의 교육 방법을 만들었다.” 하였다.
❏ 팔조가[八條歌] 기자(箕子)의 교화를 받아 순후한 풍속을 이루게 되었다는 것을 뜻하는 말이다. 은(殷) 나라가 망한 뒤에 기자가 조선에 들어와 팔조(八條)의 가르침을 베풀고 정전법(井田法)을 시행했다는 고사가 전한다. <後漢書 東夷傳>
❏ 팔조교전[八條敎典] 팔조(八條)의 교전(敎典)이란 곧 기자가 조선에 와서 백성들을 가르친 법률, 즉 범금팔조(犯禁八條)로서 8개 조항 가운데 현재는 살인자는 사형에 처한다, 남을 상해한 자는 곡물로 보상한다, 남의 물건을 도둑질한 자는 그 주인의 노예가 된다는 것 등 세 가지만이 전하고 있다 한다.
❏ 팔좌[八座] 팔좌는 재신급(宰臣級)의 8명의 고위 관료로, 각 시대마다 지칭하는 바가 약간씩 다른데, 한대(漢代)에는 육부(六部)의 상서(尙書)와 일령(一令)·일복(一僕)을, 수(隋)·당(唐)시대에 육부 상서(六部尙書)와 좌우 복야(左右僕射)를 합해서 이른 말이다. 즉 판서(判書) 지위를 뜻한다.
❏ 팔좌경월[八座卿月] 재신급(宰臣級) 8명의 고위 관료로, 각 시대마다 약간씩 다른데, 동한 시대에는 육조(六曹)의 상서와 영(令), 복야(僕射)를 말하였다. 서경(書經) 홍범(洪範)에 “임금은 해를 살피어야 하고, 귀족과 관리들은 달을 살피어야 하며, 낮은 관리들은 날을 살펴야 합니다[王省惟歲 卿士惟月 師尹惟日].” 하였다.
❏ 팔좌당[八座堂] 팔좌(八座)는 중국의 상서(尙書)를 의미하는데 조선조에서는 판서(判書)에 해당한다. 따라서 팔좌당은 판서에 해당하는 고관의 집을 의미한다.
❏ 팔좌상서[八座尙書] 팔좌 상서는 육경(六卿)과 좌우 복야(僕射)를 가리키는 말이다.
❏ 팔좌신[八座臣] 여섯 상서(尙書)와 좌우(左右) 두 복야(僕射)를 말한다. <通典 職官典 歷代尙書>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대계관[貝帶雞冠], 패도[覇道], 패릉유렵[覇陵遊獵], 패릉취위[霸陵醉尉], 패방[牌坊] (0) | 2022.10.07 |
---|---|
패관[浿關], 패교시[灞橋詩], 패궐[貝闕], 패귀[佩龜], 패금남기[貝錦南箕], 패금투시호[貝錦投豺虎] (0) | 2022.10.07 |
패[伯], 패가대[覇家臺], 패가망신[敗家亡身], 패강[浿江], 패결인[佩玦人], 패경[貝經] (0) | 2022.10.07 |
팔차[八叉], 팔찰궁[八札弓], 팔채미[八彩眉], 팔풍[八風], 팔한지옥[八寒地獄], 팔환[八還] (0) | 2022.10.07 |
팔주[八州], 팔주[八廚], 팔주[八柱], 팔준[八駿], 팔준[八俊], 팔진[八珍] (0) | 2022.10.07 |
팔은[八垠], 팔음[八音], 팔의[八議], 팔잠[八蠶], 팔전학사[八磚學士], 팔절탄[八節灘] (0) | 2022.09.21 |
팔원[八元], 팔월병사[八月秉槎], 팔월사[八月槎], 팔위[八位], 팔위요[八圍腰] (0) | 2022.09.21 |
팔애시[八哀詩], 팔애장구[八哀章句], 팔영루[八詠樓], 팔영시[八詠詩], 팔용[八龍] (0) | 2022.09.20 |
팔비[八疪], 팔사[八蜡], 팔선구로[八仙九老], 팔수[八水], 팔십일번난[八十一番難] (0) | 2022.09.20 |
팔만[八蠻], 팔명[八溟], 팔법[八法], 팔부신장[八部神將], 팔분체[八分體] (0) | 2022.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