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탐관오리[貪官汚吏] 탐관(貪官:탐욕스런 관리)과 오리(汚吏:더러운 관리). 즉, 탐욕이 많고 청렴하지 못한 관리.

탐낭[探囊] 주머니를 더듬는 도둑을 말한다. <莊子 胠篋>

탐득여룡[探得驪龍] 검은 용의 턱밑을 더듬어서 구슬을 획득한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탐시사[耽詩謝] 남조(南朝) 송(宋) 나라의 사영운(謝靈運)을 말한다. 사현(謝玄)의 손자로 강락공(康樂公)에 봉해졌는데 많은 서적을 두루 읽고 서화에 능하였으며, 특히 시를 잘 지어 그 명성이 도연명과 어깨를 나란히 하였다. 소제(少帝) 때에는 영가태수(永嘉太守)로 있으면서 직무는 아랑곳하지 않고 경내의 산천을 돌아다니며 보고 느끼는 대로 시를 지어 산수시인(山水詩人)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宋書 卷六十七 謝靈運傳>

탐위[貪餧] 먹을 것을 찾다.

탐천[貪泉] 사람이 그 물을 마시면 갑자기 탐욕(貪慾)이 생긴다는 샘 이름이다. 중국 광동성(廣東省) 남해현(南海縣)에 있는데, 전설에 “이 물을 마시면 탐욕의 마음이 생긴다.”고 한다. 진(晉) 나라 사람 오은지(吳隱之)는 이 물을 마시면서 끝내 청렴한 절개를 고치지 않을 것을 맹세했다 한다. <晉書 吳隱之傳>

탐천지공[貪天之功] 탐천지공은, 임금의 성덕으로 이루어진 공을 자기 공으로 삼는다는 뜻이다. 좌전(左傳)에 “貪天之功 以爲己力乎”라는 것이 보인다.

탐풍가송[探風歌頌] 주(周) 나라 때 왕이 백성의 가요를 채집해서 풍속과 정치를 살핀 일이 있다. <詩經 國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