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탈영[脫穎] 송곳의 끝이 주머니 밖으로 삐져나오는 것으로, 자신의 재능을 다 드러내는 것을 뜻한다. 사기(史記) 제76권 평원군우경열전(平原君虞卿列傳)에 “평원군이 말하기를, ‘무릇 현사(賢士)가 이 세상에 처함에 있어서는 비유하자면 송곳이 주머니 속에 있는 것과 같다. 그 끝이 드러나지 않으면……’이라 하자, 모수(毛遂)가 말하기를 ‘신을 오늘 주머니 속에 처하게 해 주시기 바랍니다. 저로 하여금 일찌감치 주머니 속에 처하게 하였더라면 송곳 끝이 주머니를 뚫고 나와서[穎脫而出] 끝이 보이는 정도만이 아니었을 것입니다.’라고 하였다.”라고 하였다.

탈영모수[脫潁毛遂] 탈영은 주머니 안의 송곳 끝이 삐져나왔다는 것으로, 재능이 남보다 뛰어남을 말한다. 전국 시대 진(秦) 나라가 조(趙) 나라를 쳤을 때 조 나라 평원군(平原君)의 식객 모수(毛遂)가, 평원군이 초 나라에 가서 초왕과 합종(合從)의 협약을 맺는 일에 자신이 따라가 참여하겠다고 말하자 평원군이 “현사(賢士)의 처세란 마치 주머니 안에 든 송곳과 같아서 그 끝이 반드시 삐져나오는 것인데, 선생은 우리 집에 있은 지 벌써 3년이나 되었는데도 선생의 유능한 점을 한 번도 듣지 못하였습니다. 선생은 그만두시오.”라고 하니, 모수가 “오늘 당장 나를 주머니 안에 넣어 주십시오. 그렇게만 한다면 그 끝만 삐져나오는 것이 아니라 자루까지도 다 삐져나올 것입니다.”라고 하여, 결국 평원군을 따라 초나라에 가서 합종의 협약을 성사시켰다. <史記 卷七十六 平原君傳>

탈영추[脫穎錐] 자신의 재능을 드러내려고 하지 않았다는 뜻이다. 사기(史記) 평원군열전(平原君列傳)에 “평원군이 ‘무릇 현사(賢士)가 이 세상에 처하는 것은 비유하자면 송곳이 주머니 속에 있는 것과 같아서, 그 끝이 즉시 비어져 나오기 마련이다.’라고 하자, 모수(毛遂)가 말하기를 ‘저로 하여금 일찌감치 주머니 속에 있게 하였더라면 송곳 끝이 주머니를 뚫고 나와서 끝이 보이는 정도만이 아니었을 것입니다.’라고 하였다.”라고 하였다.

탈천형[脫天刑] 천형은 하늘이 사람에게 준 형벌이라는 뜻으로, 즉 사람이 사생 시비 등에 속박됨을 가리킨다. 장자(莊子) 덕충부(德充符)에 의하면, 숙산무지(叔山無趾)가 노담(老聃)에게 말하기를 “공구(孔丘)는 지인(至人)이 아닌가 봅니다. 어찌하여 제자들을 가르치며 또 어찌하여 괴상하고 허황된 명예를 구하는 것입니까?”라고 하니, 노담이 답하기를 “자네는 왜 생사(生死)가 똑같고 시비(是非)가 일관된다는 것으로 그의 질곡(桎梏)을 풀어주지 않았는가.”라고 하자, 숙산무지가 말하기를 “그런 속박은 하늘이 준 형벌인데 어떻게 벗을 수가 있겠습니까.”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