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첨사[詹事] 첨사는 한림원 편수(翰林院編修)의 별칭이다. 진나라가 설치한 관직으로 황비나 태자의 집안일을 관장했다.
❏ 첨서[簽書] 벼슬 이름. 중추원 즉 추밀원의 종2품 벼슬로, 첨서추밀원사(簽書樞密院事)의 약칭이다.
❏ 첨선자문[添線刺紋] 옛날 궁중에서 여자들의 바느질 선으로 한 해의 장단(長短)을 계산했는데, 동지가 지나 해그림자가 차차 길어지면 매일같이 한 오리씩 침선(針線)을 더하였다 한다.
❏ 첨수백련직[簷垂白練直] 처마 밑에 떨어지는 낙숫물이 하얀 명주 같다. 한유(韓愈)와 맹교(孟郊)의 시 ‘추우연구(秋雨連句)’에 “처마 밑엔 하얀 명주 직각으로 드리우고, 도랑물은 상수(湘水)처럼 콸콸 넘쳐흐르네.[簷垂白練直 渠漲淸湘大]”라는 표현이 있다. <韓昌黎集 卷8>
❏ 첨연무가인[簷燕舞佳人] 한 성제(漢成帝)의 후(后)인 조비연(趙飛燕)이 몸이 가벼워서 손바닥 위에서 춤을 추었다.
❏ 첨유[幨帷] 첨유는 수레의 휘장이다.
❏ 첨윤[詹尹] 옛날에 점서(占筮)를 맡았던 자의 이름. 정첨윤(鄭簷尹). 초사(楚辭) 복거(卜居)에 “마음이 어수선하여 종잡을 수 없기에 태복 정첨윤을 찾아갔다.[心煩慮煩 不知所從 乃往見太卜鄭詹尹]”라는 말이 있다.
❏ 첨의[瞻依] 어버이를 뜻하는 말이다. 시경(詩經) 소아(小雅) 소반(小弁)의 “눈에 뜨이나니 모두 아버님이요, 마음에 그리나니 모두 어머님일세.[靡瞻匪父 靡依匪母]”라는 말에서 비롯된 것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고[請告]~청광[淸狂]~청광승별소[淸光勝別宵]~청구[靑邱]~청구학[靑丘雘] (0) | 2020.12.21 |
---|---|
청검[請劍]~청경우독[晴耕雨讀]~청계간소영[淸溪看疎影]~청계무[聽鷄舞]~청계향[靑桂香] (0) | 2020.12.21 |
첩해[鰈海]~첩환마[妾換馬]~청간문장[靑簡文章]~청강[淸江]~ 청강해중룡[聽講海中龍] (0) | 2020.12.21 |
첩개[貼个]~첩괄[帖括]~첩벽연쌍주[疊璧聯雙珠]~첩운시[疊韻詩]~첩첩[捷捷] (0) | 2020.12.18 |
첨전홀후[瞻前忽後]~첨정[添丁]~첨조계충[簷鳥階蟲]~첨첨[尖尖]~첨해옥[添海屋] (0) | 2020.12.18 |
첨개[沾丐]~첨노[尖奴]~첨두[尖頭]~첨복[簷蔔]~첨봉검망[尖峰劒鋩] (0) | 2020.12.17 |
철천[鐵穿]~철천지수[徹天之讐]~철철[惙惙]~철환공맹[轍環孔孟]~철환천하[轍環天下] (0) | 2020.12.17 |
철적[鐵笛]~철적성[鐵笛聲]~철점은구[鐵點銀鉤]~철주[철주]~철중쟁쟁[鐵中錚錚] (0) | 2020.12.17 |
철옥여배속[綴玉與排粟]~철우[鐵牛]~철위성[鐵圍城]~철작간[鐵作肝]~철장광평[鐵腸廣平] (0) | 2020.12.16 |
철심석장[鐵心石腸]~철심인[鐵心人]~철액[鐵額]~철여의[鐵如意]~철연[鐵硯] (0) | 2020.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