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채진[采眞] 진실의 이치를 캔다는 뜻으로 장자(莊子) 천운(天運)에 “古者謂是采眞之遊”라 하였다.
❏ 채진지유[采眞之遊] 장자(莊子) 천운(天運)에 “소요(逍遙)의 뜨락에서 노닐고, 구간(苟簡)의 밭에서 먹고살며, 부대(不貸)의 구역에서 있나니, 소요면 무위(無爲)요 구간이면 이양(易養)이요 부대면 무출(無出)이라, 이를 일러 옛사람들이 채진지유(采眞之遊)라 하였다.”고 하였다.
❏ 채취생[彩翠生] 전국 시대 초(楚) 나라 시인 송옥(宋玉)의 고당부(高唐賦)에, 초왕(楚王)과 무산(巫山) 신녀(神女)의 연애 이야기가 실려 있는데, 서로 작별할 적에 무산 신녀가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를 내리면서 언제까지나 양대 아래에 있겠다.[旦爲朝雲 暮爲行雨 朝朝暮暮 陽臺之下]”고 말했다는 기록이 전한다.<文選 卷19> 한편 당(唐) 나라 왕유(王維)의 시에 “비취빛이 때때로 분명도 한데, 저녁 산기운은 처소를 알 수 없네.[彩翠時分明 夕嵐無處所]”라는 표현이 있다. <王右丞集 卷13 木蘭柴>
❏ 채침[蔡沈] 채침은 채원정(蔡元定)의 아들이며, 주희(朱熹)의 제자였는데, 자기 아버지 원정이 당시 학자들이 잘 모르는 홍범(洪範)의 수(數)에 관하여 자기 혼자 깨닫고는 있었으나 미처 논저(論著)를 못하고는 이르기를 “내 뒤를 이어 내 학설을 완성시킬 사람은 침(沈)일 것이다.”라고 하였고, 주희는 늘그막에 서경의 전(傳)을 쓰려다가 못하고 역시 채침에게 그 일을 부탁하였다.<宋史 卷四百三十四>
❏ 채택[蔡澤] 전국 시대 연(燕) 나라 사람으로 말을 잘하여 조(趙)·한(韓)·위(魏)에 유세하였으나 모두 쓰임을 받지 못하였다가 얼마 뒤에 진(秦)에 들어가 응후(應侯)의 인도로 진 소왕(秦昭王)에게 객경(客卿), 승상까지 되었더니, 그 뒤 남들에게 미움을 사게 되자 병을 핑계, 승상의 인(印)을 돌려주었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처당차연작[處堂嗟燕雀]~처량부복[凄涼賦鵩]~처비일조[萋斐日組]~처성자옥[妻城子獄] (0) | 2020.11.16 |
---|---|
책상퇴물[冊床退物]~책석[策石]~책시[簀尸]~책시범자[簀尸范子] (0) | 2020.11.13 |
책난[責難]~책명[策名]~책부[策府]~책비[責備] (0) | 2020.11.13 |
채호재고진[彩毫才告盡]~채홍준사[採紅駿使]~채화지[採華芝]~책기지심[責己之心] (0) | 2020.11.13 |
채팽윤[蔡彭胤]~채필[綵筆]~채필무공[彩筆無功]~채필토홍예[彩筆吐虹蜺] (0) | 2020.11.12 |
채익[彩鷁]~채제[采齊~채주소역[蔡疇邵易]~채중기[蔡仲耆]~채중랑[蔡中郞] (0) | 2020.11.12 |
채운저처권상렴[彩雲低處捲緗簾]~채원정[蔡元定]~채의오친[綵衣娛親]~채의환[彩衣歡] (0) | 2020.11.11 |
채시[蔡蓍]~채신지우[采薪之憂]~채씨롱[蔡氏弄]~채옹초미금[蔡邕焦尾琴] (0) | 2020.11.11 |
채석주중금[采石舟中錦]~채수[債帥]~채수[綵樹]~채숙[蔡叔~채승[綵勝] (0) | 2020.11.11 |
채봉인[蔡封人]~채부다탈락[菜部多脫落]~채상단[采桑壇]~채석전광[采石顚狂] (0) | 2020.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