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채시[蔡蓍] 거북 점과 시초(蓍草) 점이라는 뜻으로, 귀신과 같은 묘산(妙算)의 소유자라는 말이다.
❏ 채시관[采詩官] 풍속과 정치를 살펴보기 위해 각 지방의 시가(詩歌)를 채집했던 주(周) 나라의 관원 이름이다. <禮記 王制·漢書 藝文志>
❏ 채신지우[采薪之憂] 자기 병을 겸손하게 일컫는 말. 아파서 나무를 할 수 없다는 뜻. 부신지우(負薪之憂)
❏ 채씨롱[蔡氏弄] 오롱곡(五弄曲)은 다섯 가지의 금곡(琴曲)으로 유춘(遊春)·녹수(淥水)·유거(幽居)·좌수(坐愁)·추사(秋思)인데, 후한(後漢) 때 채옹(蔡邕)이 지었다.
❏ 채약동남[採藥童男] 진시황(秦始皇)이 서복(徐福)을 시켜 동남동녀(童男童女) 수천 명을 배에 싣고 바다로 들어가서 삼신산(三神山)의 불사약(不死藥)을 캐 오게 하였는데, 불사약은 캐 오지 않고 일본으로 도망가서 살았다고 한다.
❏ 채영[彩楹] 단정한 기둥
❏ 채옹[蔡邕] 후한(後漢) 때 사람. 자는 백개(伯喈). 시부(詩賦)를 잘하였으며, 저서에는 채중랑전집(蔡仲郞全集)이 있음.
❏ 채옹초미금[蔡邕焦尾琴] 채옹이 일찍이 이웃집에서 밥을 짓느라고 때는 오동나무가 타는 소리를 듣고는, 그 나무가 좋은 나무인 줄을 알고 그 타다 남은 오동나무를 얻어 거문고를 만들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호재고진[彩毫才告盡]~채홍준사[採紅駿使]~채화지[採華芝]~책기지심[責己之心] (0) | 2020.11.13 |
---|---|
채팽윤[蔡彭胤]~채필[綵筆]~채필무공[彩筆無功]~채필토홍예[彩筆吐虹蜺] (0) | 2020.11.12 |
채진지유[采眞之遊]~채취생[彩翠生]~채침[蔡沈]~채택[蔡澤] (0) | 2020.11.12 |
채익[彩鷁]~채제[采齊~채주소역[蔡疇邵易]~채중기[蔡仲耆]~채중랑[蔡中郞] (0) | 2020.11.12 |
채운저처권상렴[彩雲低處捲緗簾]~채원정[蔡元定]~채의오친[綵衣娛親]~채의환[彩衣歡] (0) | 2020.11.11 |
채석주중금[采石舟中錦]~채수[債帥]~채수[綵樹]~채숙[蔡叔~채승[綵勝] (0) | 2020.11.11 |
채봉인[蔡封人]~채부다탈락[菜部多脫落]~채상단[采桑壇]~채석전광[采石顚狂] (0) | 2020.11.10 |
채번[綵幡]~채번은[綵幡恩]~채복승환원[綵服承歡願]~채복인[彩服人] (0) | 2020.11.10 |
채문도사[蔡門倒屣]~채미[蠆尾]~채미가[採薇歌]~채미시[採薇詩] (0) | 2020.11.10 |
채련사[採蓮詞]~채모팽기[蔡謨蟛蜞]~채묘등몽[菜苗登夢]~채무[彩舞]~채묵[蔡墨] (0) | 2020.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