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죽전[竹箭] ()은 대죽(大竹), ()은 소죽(小竹)이다.

죽지[竹枝] 악부(樂府) 이름. 죽지사(竹枝詞). 당 나라 시인 유우석(劉禹錫)이 낭주(朗州)에 귀양가서 그 지방의 풍속을 읊은 악부로서 후세에 지방 토속의 잗단 일을 읊은 것을 흔히 말한다. 일설에는 남녀의 정사(情事)를 노래한 것이라고도 한다.

죽지가[竹枝歌] 악부(樂府) 가운데 하나로, 본디 사천(四川) 일대의 민가(民歌)인데, () 나라 유우석(劉禹錫)이 낭주(郞州)로 유배되었을 때 지은 신사(新詞) 9()를 효시로 한다. 주로 삼협(三峽)의 풍광과 남녀간의 연정(戀情)을 읊었다.

죽지곡[竹枝曲] 죽지곡은 맨 처음 당() 나라 때의 시인 유우석(劉禹錫)이 창작한 악부(樂府)의 한 체()로서 그 내용은 대략 남녀가 서로 좋아하는 것을 서술하고 있다.

죽지사[竹枝詞] 주로 지방의 풍속이나 여인의 정서를 읊는 가사(歌詞)의 일종이다. 소식(蘇軾)의 죽지가(竹枝歌) 자서(自序)에 의하면, 죽지사는 본래 초 나라에서 발생한 노래로 회왕(懷王), 굴원(屈原), 항우(項羽) 등의 슬픈 이야기가 전승되어 원통하고 애달픈 곡조를 띠게 되었다고 하였다.

죽지애[竹枝哀] 죽지(竹枝)는 당()의 유우석(劉禹錫)이 새로 지은 죽지사(竹枝辭)를 의미하는데, 상대방의 시가 강개 처절하다는 뜻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