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죽마고우[竹馬故友] 어릴 때 대나무 말을 타고 놀던 옛 친구. 아주 어릴 때부터 같이 놀던 친한 친구
❏ 죽마고우[竹馬故友] 죽마(竹馬:대말)를 타고 놀던 오래된 벗. 어렸을 때부터 친하게 사귄 벗. 죽마구우(竹馬舊友). 죽마지우(竹馬之友).
❏ 죽마래영[竹馬來迎] 후한(後漢)의 양리(良吏) 곽급(郭伋)이 부임하니 어린 아이들 몇 백이 각기 대말[竹馬]을 타고 길 가에 나와 맞으며 절하였다.
❏ 죽마정경성[竹馬定傾城] 백성들의 극진한 환대를 받을 것이라는 말이다. 후한(後漢)의 곽급(郭伋)이 재차 병주 목사(幷州牧使)로 부임하여 고을을 순행(巡行)하다가 미직(美稷)이라는 마을에 이르렀을 때, 100여 명의 아동이 죽마(竹馬)를 타고 와서 환성을 울리며 영접했던 고사가 전한다. <東觀漢記 郭伋>
❏ 죽마환영[竹馬歡迎] 후한(後漢) 곽급(郭伋)이 전임(前任) 병주목(幷州牧)으로서 다시 그 지방에 부임하여 서하(西河) 미직(美稷)에 이르렀을 때, 수백 명의 아동들이 죽마(竹馬)를 타고 그를 환영하러 나왔던 고사가 전한다. <東觀漢記 郭伋·後漢書 郭伋列傳>
❏ 죽반승[粥飯僧] 죽만 먹고 지내는 중. 많이 먹기만 하고 능력이 없는 중을 이르는데, 전하여 무능한 사람을 흉보는 말로 쓰인다.
❏ 죽백[竹柏] 대나무와 잣나무가 겨울에도 푸르르듯 지조가 굳은 사람을 가리킨다.
❏ 죽백[竹帛] 옛날에는 종이가 없어 대쪽과 비단에 글을 썼는데, 죽백(竹帛)은 역사를 기록한 책을 말한다.
❏ 죽백[竹帛] 책, 특히 사서(史書)를 이르는 말. 중국 고대에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대쪽이나 명주에 글을 적던 데서 온 말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준법[皴法]~준벽화[皴碧畫]~준순주[逡巡酒]~준오[踆烏]~준우조장[峻宇雕牆] (0) | 2020.10.03 |
---|---|
죽참순속[竹驂淳俗]~죽취일[竹醉日]~죽피관[竹皮冠]~준개[僎介]~준골[駿骨] (0) | 2020.10.03 |
죽전[竹箭]~죽지가[竹枝歌]~죽지가[竹枝歌]~죽지애[竹枝哀] (0) | 2020.10.03 |
죽엽주[竹葉酒]~죽엽청[竹葉靑]~죽장망혜[竹杖芒鞋]~죽장화룡[竹杖化龍] (0) | 2020.10.03 |
죽부[竹符]~죽사부[竹使符]~죽상루[竹上淚]~죽석[竹石]~죽실담계무[竹實談鷄騖] (0) | 2020.10.03 |
죽력의이[竹瀝薏苡]~죽림유[竹林遊]~죽림칠현[竹林七賢]~죽림환[竹林歡] (0) | 2020.09.29 |
죽계육일[竹溪六逸]~죽고[粥鼓]~죽궁망배[竹宮望拜]~죽년[竹碾]~죽당[竹堂] (0) | 2020.09.29 |
주후방[肘後方]~주후혜문[柱後惠文]~주휘[麈麾]~주휘[朱暉]~죽각[竹閣] (0) | 2020.09.29 |
주화모록지[朱華冒綠池]~주환용호[珠還龍戶]~주후결[肘後訣]~주후관[柱後冠] (0) | 2020.09.29 |
주호은악[周灝殷噩]~주홀[拄笏]~주홀간서산[拄笏看西山]~주홍구석[呪虹驅石] (0) | 2020.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