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주팔[周八] 옛날 주 목왕(周穆王)이 사랑하던 여덟 마리의 준마(駿馬)를 이른 말이다.
❏ 주평만[朱泙漫] 주(周) 나라 사람. 천금 가산을 탕진해가면서 지리익(支離益)에게서 도룡(屠龍) 솜씨를 배워 3년 만에 기법을 다 익혔으나 결국 그 기술을 써먹을 곳이 없었다. <莊子 列御寇>
❏ 주평학재룡[朱泙學宰龍] 쓸데없는 기예를 배운 것을 비유한 말이다. 옛날 주평만(朱泙漫)이란 사람이 천금의 가산(家産)을 기울여 지리익(支離益)이란 사람에게서 용(龍) 잡는 기술을 배운 결과, 3년 만에 그 기술을 습득하였으나 그 기술을 쓸 데가 없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莊子 列禦寇>
❏ 주포[珠浦] 주포는 구슬이 생산되던 합포(合浦)를 가리킨 말로, 후한 때 맹상(孟嘗)이 합포 태수(合浦太守)로 나가서, 앞서 그 고을에서 생산되던 진주(眞珠)가 탐오한 전 태수들이 마구 캐냄으로써 모두 다른 고을로 옮겨가 버려서 백성들이 모두 생업을 잃게 되었던 폐단을 이내 바로잡음으로써 그 옮겨갔던 진주가 되돌아와 백성들이 다시 잘 살게 되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 주필[周弼] 송 나라 시인. 자는 백강(伯强). 시화에 능했으며, 저서에 문양단평시준(汶陽端平詩雋)·삼체당시(三體唐詩)가 있다.
❏ 주필간시재[籌筆幹時材] 붓을 잡고 어려운 시대의 계책을 세우는 등 뛰어난 경륜(經綸)을 선보였다는 말이다.
❏ 주하사[柱下史] 주(周)와 진(秦) 왕조 때의 어사(御史)의 별칭이다. 직무가 언제나 궁전의 기둥 밑에서 시립하여 직무를 봤기 때문에 붙은 직명이다. 주나라 제도에는 어사는 전당의 기둥 사이에 시립하여 직무를 본다고 해서 주어사(柱御史)라고 했으며 진제에서는 시어사(侍御史)라고 칭했다.
❏ 주하사[柱下史] 주하사는 노자(老子)를 가리킨다. 노자는 일찍이 주(周) 나라의 주하사 벼슬을 하다가 주 나라가 쇠망함을 보고 은둔하였는데, 공자가 그를 만나고는 “용과 같다.”고 칭찬하였다. <史記 卷六十三 老子列傳>
❏ 주하수[柱下叟] 주하사(柱下史) 늙은이란 곧 춘추 시대에 주하사 벼슬을 지낸 노자(老子)를 말한다.
❏ 주하어사[柱下御史] 진나라 이전의 어사들은 모두 사관으로 궁중의 기둥 사이에 시립하여 조정의 일을 기록하는 일을 담당했다. 그래서 주하어사(柱下御史)라 했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죽계육일[竹溪六逸]~죽고[粥鼓]~죽궁망배[竹宮望拜]~죽년[竹碾]~죽당[竹堂] (0) | 2020.09.29 |
---|---|
주후방[肘後方]~주후혜문[柱後惠文]~주휘[麈麾]~주휘[朱暉]~죽각[竹閣] (0) | 2020.09.29 |
주화모록지[朱華冒綠池]~주환용호[珠還龍戶]~주후결[肘後訣]~주후관[柱後冠] (0) | 2020.09.29 |
주호은악[周灝殷噩]~주홀[拄笏]~주홀간서산[拄笏看西山]~주홍구석[呪虹驅石] (0) | 2020.09.29 |
주해추[朱亥椎]~주현[朱絃]~주현백설[朱絃白雪]~주현성[酒賢聖]~주협홀[拄頰笏] (0) | 2020.09.29 |
주충어[註蟲魚]~주취유[珠翠襦]~주타[珠唾]~주태사[周太史]~주택[周澤] (0) | 2020.09.28 |
주착[鑄錯]~주처[周妻]~주천[酒泉]~주초[朱艸]~주촉[晝燭] (0) | 2020.09.28 |
주진[주盡]~주진가취[朱陳嫁娶]~주진지호[朱陳之好]~주진촌[朱陳村]~주진혼[朱陳婚] (0) | 2020.09.28 |
주중선[酒中仙]~주중인지개적[舟中人之皆敵]~주즙재[舟楫才]~주지육림[酒池肉林] (0) | 2020.09.28 |
주제[朱提]~주조[鴸鳥]~주졸지[走卒知]~주주함우[周周銜羽]~주죽타[朱竹垞] (0) | 2020.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