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말을 꾸미면 실질을 잃게 된다
- 한비자 제32편 외저설(좌상) [101] -
초나라 왕이 전구에게 말하였다.
“묵자는 현명한 학자이다. 그 품행은 단정하고 말수가 많은데도 달변이 못되는 것은 무슨 까닭인가.”
전구가 대답하였다.
“옛날 진백이 자기 딸을 진나라 공자에게 시집보낼 때 준비가 화려했고, 시종은 70명이나 거느리게 하였다고 합니다. 그런데 공자는 몸종을 첩으로 거느리고 그녀는 무시했다고 합니다. 그 일은 첩으로는 잘 보냈다고 할 수 있으나 공자의 아내로는 잘 보냈다고 할 수 없습니다. 초나라 사람 중에 정나라에 구슬을 팔러 간 사람이 있었는데 목란 상자를 만들어 그 안에 갖가지 주옥과 비취를 넣어 내놓았습니다. 그런데 정나라 사람은 상자만 샀을 뿐 주옥과 비취는 사지 않았다고 합니다. 이것은 상자 장사를 한 것이지 주옥 장사를 했다고 볼 수 없는 것입니다. 요즘 이야기는 말재간이 좋고, 꾸미기를 잘하므로 군주는 그 화려함에 혹하여 실용성을 잃고 계십니다. 그러나 묵자의 언설은 선왕의 도를 전하여 성인의 말씀을 논하므로 널리 사람들을 감동하게 하고 있습니다. 만일 그 언설을 꾸미게 되면 듣는 사람은 표현에만 주의를 기울이고 실질은 잊게 될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초나라 사람이 주옥 장사를 하고, 진백이 딸을 시집보냈던 것과 같은 결과가 됩니다. 그러므로 묵자의 언설은 말수는 많지만 달변은 아닌 것입니다.”
- 韓非子 第32篇 外儲說(左上) [101] -
楚王謂田鳩曰:「墨子者, 顯學也. 其身體則可, 其言多不辯, 何也?」 曰:「昔秦伯嫁其女於晉公子, 令晉爲之飾裝, 從文衣之媵七十人. 至晉, 晉人愛其妾而賤公女. 此可謂善嫁妾, 而未可謂善嫁女也. 楚人有賣其珠於鄭者, 爲木蘭之櫃, 薰以桂椒, 綴以珠玉, 飾以玫瑰, 輯以翡翠. 鄭人買其櫝而還其珠. 此可謂善賣櫝矣, 未可謂善鬻珠也. 今世之談也, 皆道辯說文辭之言, 人主覽其文而忘有用. 墨子之說, 傳先王之道, 論聖人之言, 以宣告人. 若辯其辭, 則恐人懷其文忘其直, 以文害用也. 此與楚人鬻珠·秦伯嫁女同類, 故其言多不辯.」
'옛글[古典]산책 > 한비자[韓非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칙이 있으면 함부로 말하지 못한다/한비자/외저설(좌상)/ (0) | 2020.08.19 |
---|---|
쓸모 없는 것에 연연하지 마라/한비자/외저설(좌상)/ (0) | 2020.08.19 |
실용성이 없는 것은 버려라/한비자/외저설(좌상)/ (0) | 2020.08.19 |
좋은 약은 입에 쓰다/한비자/외저설(좌상)/ (0) | 2020.08.19 |
화려함 보다 실용이 중요하다/한비자/외저설(좌상)/ (0) | 2020.08.19 |
달콤한 말속에 독이 있다/한비자/외저설(좌상)/ (0) | 2020.08.19 |
밀정을 이용한다/한비자/내저설(하)/6미/묘공/ (0) | 2020.08.19 |
조정에 앉아 적을 치다/한비자/내저설(하)/6미/묘공/ (0) | 2020.08.19 |
먼저 흐트러뜨려라/한비자/내저설(하)/6미/폐치/ (0) | 2020.08.19 |
적의 인재는 아국의 장애물이다/한비자/내저설(하)/6미/폐치/ (0) | 2020.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