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형여[荊廬] 형산(荊山)과 여산(廬山). 형산은 호북성(湖北省)에 있는 산으로 옥(玉)이 나는 명산이고, 여산은 강서성(江西省)에 있는 명산이다.
❏ 형역[形役] 마음이 육체적 생활의 노예가 되어 사역(使役) 당하는 것을 말한다. 즉 외물(外物)로 인해 자유의지(自由意志)가 구속됨을 말한다. 도연명(陶淵明)의 귀거래사(歸去來辭)에 “이미 스스로 마음을 가지고 형체의 역사 삼았으니 어찌 실의에 빠져 슬퍼만 하리오.[旣自以心爲形役 奚惆悵而獨悲]”라고 하였다.
❏ 형옥[荊玉] 형옥은 형산(荊山)에서 나오는 옥으로 초(楚) 나라 사람 변화(卞和)가 형산의 박옥(璞玉)을 얻어서 세 차례에 걸쳐 초 문왕(楚文王)에게 올린 일이 있었음. 바로 화씨벽(和氏璧)을 말한다.
❏ 형원[荊猿] 몹시 슬프게 우는 원숭이를 뜻한다.
❏ 형이상하[形而上下] 형이상은 형기(形氣)가 나타나기 전으로 바로 이치를 말하고 형이하는 형기가 나타난 후로 바로 기운을 뜻한다.
❏ 형인[衡人] 형인은 주례(周禮)의 관명으로 특히 산림을 관장하는 사람을 말한다.
❏ 형인양월[荊人兩刖] 유명한 변화읍벽(卞和泣璧)의 고사임. 초 나라 사람 변화가 옥돌을 얻어서 초 여왕(楚厲王)에게 바쳤으나 속임수를 쓴다고 여겨져 왼쪽 발이 잘렸는데, 무왕(武王) 때 또 바쳤다가 같은 이유로 오른쪽 발마저 잘리자 원통한 심정으로 옥돌을 안고 울었다고 한다. <韓非子 和氏>
❏ 형제이난[兄弟二難] 형제가 서로 우열이 없이 덕행이 똑같이 뛰어남을 이른다. 후한(後漢) 때 진식(陳寔)의 여섯 아들 가운데 기(紀)와 심(諶) 두 아들이 가장 덕행이 뛰어났는데, 진식이 그들을 평하기를 “원방(元方)은 형 되기가 어렵고, 계방(季方)은 아우 되기가 어렵다.”고 한 데서 온 말이다. <後漢書 卷六十二>
❏ 형제혁장[兄弟鬩墻] 형제가 담장 안에서 싸운다. 동족상쟁(同族相爭)을 말한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형주[荊州], 형주면[荊州面], 형창설안[螢窓雪案], 형처[荊妻], 형피수돈[形疲瘦頓] (0) | 2025.03.27 |
---|---|
형수화[荊樹花], 형승지지[形勝之地], 형애제공[兄愛弟恭], 형양[桁楊], 형양금[荊楊金], 형양안[衡陽雁] (1) | 2025.03.20 |
형부나함택[荊府羅含宅], 형산읍옥[衡山泣玉], 형석[衡石], 형설[螢雪], 형설지공[螢雪之功] (0) | 2025.03.18 |
형림[蘅林], 형모[衡茅], 형문[衡門], 형박[荊璞], 형박삼헌[荊璞三獻], 형벽수주[荊璧隋珠] (0) | 2025.03.14 |
형고[滎皐], 형극[荊棘], 형극매동타[荊棘埋銅駝], 형담창화[荊潭唱和], 형등[螢燈] (0) | 2025.03.11 |
협탄[鋏彈], 협파개[愜爬疥], 협협균박새[挾筴均博塞], 형가[荊軻], 형경분월계[衡鏡分月桂], 형경전[荊卿傳] (1) | 2025.03.06 |
협리서호[篋裏西湖], 협상모[頰上毛], 협원[峽猿], 협주[挾鑄], 협진궁[挾秦弓] (0) | 2025.03.04 |
혈지승[穴紙蠅], 혐중육[嫌重肉], 협가[鋏歌], 협견첨소[脅肩諂笑], 협광[挾纊], 협류[峽纍] (0) | 2025.02.24 |
현화[玄花], 현훤[懸貆], 혈구지도[絜矩之道], 혈규주중도[穴竅珠中度], 혈사[血射] (0) | 2025.02.18 |
현하지변[懸河之辯], 현현[泫泫], 현호수적[懸瓠樹績], 현호일[懸弧日] (0) | 2025.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