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행약[行藥] 약을 마신 뒤에 약이 내려가라고 거니는 것을 말한다. 두보의 시에 “行藥病涔涔”의 글귀가 있다. 두보(杜甫)의 시 풍질주중복침서회삼십육운봉정호남친우(風疾舟中伏枕書懷三十六韻奉呈湖南親友: 배에서 풍질을 앓아 자리에 누워 있으면서 심회를 써서 호남의 벗에게 드리다)에 “구르는 쑥 같아 근심이 심하고, 약을 먹으며 병으로 신음하노라.[轉蓬憂悄悄, 行藥病涔涔.]”라고 하였다.
❏ 행영[行營] 외지에 나가 주둔해 있는 군영(軍營)을 말한다.
❏ 행우[行雨] 행우조운(行雨朝雲)의 준말로, 옛날 송 양왕(宋襄王)이 고당(高唐)에서 낮잠을 자다가 꿈에 무산(巫山)의 신녀(神女)와 정사(情事)를 가졌는데, 그가 떠나면서 “저는 아침에는 조운(朝雲)이 되고 저녁에는 행우(行雨)가 됩니다.”고 했던 데서 온 말인데, 전하여 미인을 비유다.
❏ 행운유수[行雲流水] 떠가는 구름과 흐르는 물. 일의 처리에 막힘이 없거나 마음씨가 시원시원함을 말한다.
❏ 행원[杏園] 당대(唐代)에 진사(進士)에 합격된 선비에게 잔치를 내리던 곳. 그 모임을 탐화연(探花宴)이라 하고 준소(俊少)한 선비 세 사람을 뽑아 탐화사(探花使)라 한 다음 이름 있는 원(園)들을 두루 찾아 꽃을 꺾어 오도록 하여, 늦은 두 사람에게는 벌을 주는 놀이도 가졌다.
❏ 행위[行違] 출처(出處)를 시국에 따라서 하였음을 뜻한다. 공자가 이르기를 “즐거우면 행하고 근심스러우면 떠나간다.[樂則行之, 憂則違之.]”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周易 乾卦 文言>
❏ 행유부득반구제기[行有不得反求諸己] 행동을 해서 원하는 결과가 얻어지지 않더라도 자기 자신을 돌아보고 원인을 찾아야 한다.
❏ 행음택반[行吟澤畔] 전국 시대 초(楚)의 문호(文豪)이자 충신인 굴원(屈原)이 간신의 참소로 쫓겨나 곤궁한 처지에 있었다. 굴원의 어부사(漁父辭)에 “못가에서 한편 거닐며 한편 읊조린다.[行吟澤畔]”라고 하였다.
❏ 행인[行人] 사신(使臣)과 같다. 조근(朝覲)·빙문(聘問)의 일을 관장하는 벼슬 이름이다. 주례(周禮) 주관(周官)에 대행인(大行人) 소관인(小官人)이 있는데, 추관(秋官)에 속한다.
❏ 행인안검간[行人按劒看] 사기(史記) 노중련추양열전(魯仲連鄒陽列傳)에 “신이 듣건대 명월(明月)의 구슬과 야광(夜光)의 벽(璧)을 길에 있는 사람에게 던져 주면 칼자루를 잡고 흘겨보지 않을 사람이 없다고 합니다.”라고 하였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향자손익[向子損益], 향자평[向子平], 향적[香積], 향적반[香積飯], 향적주[香積廚] (0) | 2024.10.22 |
---|---|
향상[香象], 향안리[香案吏], 향우인[向隅人], 향우지탄[向隅之歎], 향의[香蟻], 향일화[向日花] (1) | 2024.10.07 |
향미[鄕味], 향벽견성[向壁見性], 향사[香社], 향산구로[香山九老], 향산사[香山社] (0) | 2024.10.02 |
행화우[杏花雨], 행화풍[杏花風], 향강[香姜], 향공[鄕貢], 향등[香燈], 향렵전[餉獵錢] (0) | 2024.09.11 |
행장[行藏], 행주[行酒], 행지부창천[行止付蒼天], 행천만국병[行穿萬國兵], 행춘[行春] (1) | 2024.08.29 |
행마[行馬], 행불유경[行不由徑], 행상대경[行常帶經], 행시주육[行尸走肉], 행신가호[行身賈胡] (0) | 2024.08.27 |
행락수급춘[行樂須及春], 행로[行露], 행로난[行路難], 행리[行李], 행림[杏林] (0) | 2024.08.23 |
행가[行歌], 행각[行脚], 행단사자[杏壇四子], 행당맥락[杏餳麥酪], 행등[行縢], 행등[行燈] (0) | 2024.08.22 |
해패[解佩], 해포[解袍], 해하[解夏], 해하[垓下], 해하음릉도[垓下陰陵道], 해학비[海鶴悲] (0) | 2024.08.21 |
해주[海籌], 해촉사[獬觸邪], 해추[海鰌], 해치관[獬豸冠], 해타명주[咳唾明珠], 해탑[解榻] (1) | 2024.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