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만족을 모르는 것이 가장 큰 화이다


한비자 제21편 유노1]-

 

천하에 도가 행해지며, 위급이나 재화가 없으면 세상은 조용하여 파발마 등의 급사(急使)를 보낼 필요가 없다. 그래서 노자는 빠른 말을 달리게 할 필요가 없고 논밭을 가는데 이용할 따름이다(노자 제46)고 했다. 천하에 도가 행하여지고 있지 않으면 전란의 세상이 되어 서로 공격하며 그치지 않고, 서로가 나라의 수비를 몇 해씩 계속하여 병사는 갑주를 항상 착용하고 있으므로 이가 들끓고, 진지의 막사에는 제비나 새가 둥지를 틀게 되어도 병사는 고향에 가지 못한다. 그래서 노자는 군마가 근교에서 나온다(노자 제46)고 한 것이다.

옛날 적나라 사람이 꼬리가 붙은 여우와 검은 표범 가죽을 진나라의 문공에게 바치자 문공은 사신에게서 그 가죽을 받아들고 개탄하며 이것은 가죽이 아름다웠기 때문에 그것이 화가 되어 망한 것이다고 말했다. 생각건대 나라를 다스리는 군주가 인의라는 명예를 존중한 나머지 망신한 예가 있었으니, 서나라의 언왕이 그것이다. 성과 토지를 소중히 한 나머지 망신한 예가 있었으니 우가 그것이다. 그래서 노자는 욕심이 많은 것보다 더 큰 죄가 없다(노자 제46)고 한 것이다.

지백은 범(), 중행(中行)2씨의 땅을 병합하고, 다시 조나라를 공략하려고 했다가 한나라와 위나라에게 배반을 당하여 지백의 군대는 진양에서 패하고, 그 자신은 고량의 동쪽에서 전사했다. 그 때문에 그 국토는 분할되었고, 지백의 해골은 조양자에 의하여 칠하여 변기로 사용된 것이다. 그래서 노자는 만족할 줄 모르는 것이 최대의 화이다라고 한 것이다.

우나라의 군주는 굴의 산물인 네 필의 명마와 수극에서 난 옥을 욕심내어 궁자기의 간언이 있었는데도 이를 듣지 않고 진나라에 길을 빌려주었기 때문에 나라는 망하고 자신은 죽게 되었다. 그래서 노자는 물건을 탐내는 일보다 더 처참한 해는 없다고 한 것이다.

나라는 존재하고 있으면 되지만, 패왕이 된다면 더욱 좋다. 사람은 존재하고 있으면 되지만 부귀하게 된다면 더욱 좋다. 그러나 족한 걸 알고 자기 자신을 해치게 하지 않으면 나라는 망하지 않으며, 그 몸은 죽지 않는다. 그래서 노자는 만족함을 알면 항시 만족하게 된다(노자 제46)고 했다.

초나라의 장왕이 하웅 싸움에서 진나라에게 승리하고, 귀국하여 손숙오를 포상하려 했을 때 손숙오는 한수의 모래와 자갈이 많은 토지를 받았다. 초나라의 법에 의하면 신하에게 녹을 주는 것은 2대 뿐이며, 그 후에는 그 토지를 회수하도록 되어 있었다. 다만 손숙오만이 예외로서 그 녹은 그대로였다. 그의 토지가 회수되지 않은 것은 그의 토지가 메말라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리하여 9대에 이르기까지 그 땅을 점유하여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고 있었다. 그래서 노자는 단단히 세운 것은 뽑히지 않으며, 단단히 끌어안은 것은 뺏기지 않는 것처럼 집의 기초를 단단하게 굳힌 조상을 가진 자손은 제사가 대를 이어 그칠 날이 없다(노자 제54)고 한 것이다.

 

韓非子 第21篇 喩老1]-

天下有道, 無急患, 則曰靜, 遽傳不用. 故曰:「卻走馬以糞.天下無道, 攻擊不休, 相守數年不已, 甲冑生蟣虱, 鷰雀處帷幄, 而兵不歸. 故曰:「戎馬生於郊.

翟人有獻豐狐·玄豹之皮於晉文公. 文公受客皮而歎曰:「此以皮之美自爲罪.夫治國者以名號爲罪, 徐偃王是也以城與地爲罪, ·虢是也. 故曰:「罪莫大於可欲.

智伯兼范·中行而攻趙不已, ·魏反之, 軍敗晉陽, 身死高梁之東, 遂卒被分, 漆其首以爲溲器. 故曰:「禍莫大於不知足.

虞君欲屈産之乘與垂棘之璧, 不聽宮之奇, 故邦亡身死. 故曰:「咎莫憯於欲得.

邦以存爲常, 霸王其可也身以生爲常, 富貴其可也. 不以欲自害, 則邦不亡, 身不死. 故曰:「知足之爲足矣.

楚莊王旣勝, 狩於河雍, 歸而賞孫叔敖. 孫叔敖請漢間之地, 沙石之處. 楚邦之法, 祿臣再世而收地, 唯孫叔敖獨在. 此不以其邦爲收者, 瘠也, 故九世而祀不絶. 故曰:「善建不拔, 善抱不脫, 子孫以其祭祀世世不輟.孫叔敖之謂也.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