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우거[牛車] 우거는 불교에서 일체의 중생을 제도하는 보살도(菩薩道)를 비유한 것이다.
❏ 우거[右渠] 조선(朝鮮)의 우거왕(右渠王) 때 한 무제(漢武帝)가 침입하여 항쟁하였다.
❏ 우격[羽檄] 격문(檄文)은 군사상 공문을 말함인데 그 격문에 새의 깃을 꽂으면 급한 공문이라는 표시가 되었으므로 우격(羽檄)이란 말이 생겼다.
❏ 우격[羽翮] 우격은 새의 날개인데, 전하여 세자(世子)를 보좌할 우익의 뜻으로 쓰인다. 한 고조(漢高祖)가 여후(呂后)가 낳은 태자(太子)를 폐하고 척 부인(戚夫人)이 낳은 여의(如意)로 태자를 바꾸려 할 때 상산 사호(商山四皓)인 동원공(東園公)・녹리선생(甪里先生)・기리계(綺里季)・하황공(夏黃公)이 여후가 낳은 태자를 끝까지 보호하여 바꾸지 못하게 하니, 한 고조가 척 부인을 위로하여 노래하기를 “홍곡이 높이 날면 대번에 천리를 가는데, 우격이 이미 이루어져서 사해를 횡단하는지라, 사해를 횡단하니 어찌할 수 없도다.[鴻鵠高飛 一擧千里 羽翮已就 橫絶四海 橫絶四海 當可奈何]”라고 하였는데, 여기서 온 말이다. <史記 留侯世家>
❏ 우경[耦耕] 두 사람이 나란히 서서 밭을 가는 것이다. 은거(隱居)하여 농사짓는 것을 말하는데, 논어(論語) 미자(微子)에 “장저(長沮)와 걸닉(桀溺)이 우경하였다.”라고 하였다.
❏ 우경[虞卿] 전국(戰國) 때 변사(辯士)로 조 효성왕(趙孝成王)에게 유세하여 상경(上卿)이 되었으나, 뒤에 친구인 위(魏)의 승상 위제(魏齊)를 돕기 위하여 정승의 지위도 버리고 양(梁)으로 도망쳐 온갖 고생을 다해가며 8편의 책을 저술하여 국가의 득실(得失)을 풍자하였는데, 세상에서는 그 책을 우씨춘추(虞氏春秋)라고 한다.
❏ 우경대협연쌍벽[虞卿大俠捐雙璧] 의협심(義俠心)이 아주 강함을 말한다. 우경(虞卿)은 전국 시대의 유세객(遊說客)인데, 조왕(趙王)은 그를 한 번 만나보고 매우 좋아하며 황금 1백 일(鎰)과 백벽(白璧) 한 쌍을 주었고, 두 번 만나자 상경(上卿)으로 삼았고, 세 번 만나자 정승으로 삼고 만호후(萬戶侯)로 봉했다. 이때 위제(魏齊)가 진(秦) 나라 범수(范睢)에게 죄를 얻고 피신하여 조(趙) 나라에 숨어 있는데, 진왕(秦王)이 범수를 위하여 조왕에게 위제를 잡아 보내라고 독촉하므로 위제가 우경에게 찾아가 구해달라고 애원하자, 우경은 백벽과 정승자리를 내던지고 위제와 함께 도망하였다. <史記 卷七十六 虞卿傳, 卷七十九 范睢傳>
❏ 우경송위제[虞卿送魏齊] 자신의 일처럼 마음속 깊이 안타까워하는 이가 없을 것이라는 말이다. 위(魏) 나라의 정승 위제(魏齊)가 진(秦) 나라 정승이 된 범수(范睢)와의 악연(惡緣) 때문에 궁지에 몰려 조(趙) 나라에 왔을 때, 당시 정승으로 있던 우경(虞卿)이 그의 딱한 처지를 불쌍하게 여긴 나머지 인끈을 풀어놓고 함께 도망쳐 신릉군(信陵君)을 찾아갔던 고사가 있다. <史記 范睢列傳>
❏ 우경쌍벽[虞卿雙璧] 우경은 전국 시대에 유세(游說)하던 사람으로서 조 효성왕(趙孝成王)을 설득하여 대번에 황금 백일(黃金百鎰)과 백벽 일쌍(白璧一雙)을 하사받았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史記 卷七十六>
❏ 우경저술위궁수[虞卿著述爲窮愁] 전국 시대 우경(虞卿)이 양(梁) 나라에서 곤경에 처해 실의에 빠졌을 때 국가의 득실을 논한 이른바 우씨춘추(虞氏春秋) 8편을 저술하였는데, 이에 대해 사마천(司馬遷)이 “우경이 만약 궁수(窮愁)에 처하지 않았다면, 글을 지어 후세에 자기를 전할 수 없었을 것이다.”라고 평한 말이 있다. <史記 卷76 虞卿列傳>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돌[牛堗]~우두[牛頭]~우두기[牛斗氣]~우두황종[牛脰黃鍾]~우락능겸[憂樂能兼] (0) | 2020.02.11 |
---|---|
우내하[虞奈何]~우담[愚潭]~우담발화[優曇鉢花]~우도할계[牛刀割鷄] (0) | 2020.02.10 |
우교[羽郊]~우군서[右軍書]~우군환아[右軍換鵝]~우기동조[牛驥同皁] (0) | 2020.02.07 |
우공가도[虞公假道]~우공곡[愚公谷]~우공이산[愚公移山]~우괴자[迂怪子] (0) | 2020.02.06 |
우계[愚溪]~우계무간우[虞階舞干羽]~우곡[愚谷]~우공[寓公]~우공[禹貢] (0) | 2020.02.05 |
우각가[牛角歌]~우각횡경[牛角橫經]~우강[禺强]~우강[牛岡]~우개[羽蓋] (0) | 2020.02.03 |
용화[龍火]~용화회[龍華會]~용후[龍喉]~용후[龍吼]~우[虞] (0) | 2020.01.31 |
용호[龍戶]~용호[龍胡]~용호방[龍虎牓]~용호풍운[龍虎風雲] (0) | 2020.01.30 |
용퇴[龍堆]~용파[舂簸]~용포[龍袍]~용피골[龍皮滑]~용하변이[用夏變夷] (0) | 2020.01.29 |
용지[龍池]~용천[龍天]~용천검[龍泉劍]~용추[龍雛] (0) | 2020.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