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용화[龍火] 화성(火星)을 말하는데, 가을철에는 서남쪽에 보인다고 한다. 동방 7(宿) 중의 심수(心宿)로서, 이 별이 서쪽으로 기울어지면 화기(火氣)가 수그러들기 시작한다고 한다.

용화회[龍華會] 미륵보살이 성불(成佛)한 후, 중생을 제도하는 법회(法會). 미륵보살은 567천만 년 후에 용화수 아래서 성불하고, 화림원(華林園)에 모인 대중에게 경을 설하되 첫 번째 설법에서 아라한을 얻을 이가 96, 2회의 설법에서 아라한을 얻을 이가 94, 3회의 설법에서 아라한을 얻을 이가 92억이라고 한다.

용황[龍荒] 흉노(匈奴)를 가리킨다. 흉노들은 용성(龍城)에서 하늘을 제사하므로 이렇게 이른다.

용후[龍喉] 대언(代言)은 곧 후세의 승지(承旨)인데 임금의 말[]을 출납(出納)하므로 후설(喉舌)의 벼슬이라 한다. 그것은 임금의 목구멍과 혀처럼 말[]을 낸다는 뜻이며, ()은 임금을 가리킨다.

용후[龍吼] 태평어람(太平御覽) 인세설(引世說)왕자 교(王子喬)의 무덤을 도굴했을 때 오직 칼 한 자루만이 들어 있었는데 이를 가져가려 하자 용호(龍虎)가 울부짖는 듯한 소리를 냈으므로 감히 취하지 못하였다.”고 하였으며, 이백(李白)의 독록편(獨漉篇)에도 벽에 걸린 칼 한 자루 때때로 용의 울음, 코끼리 자르지 못한 채 이끼만 끼어 가는구나.[雄劍挂壁 時時龍鳴 不斷犀象 繡澁苔生]”라는 구절이 있다.

[] 순임금 요임금에게서 선양받아 지금 산서성(山西省) 영제현(永濟縣) 경내의 포판(蒲阪)에 세운 나라의 이름이다. 우순(虞舜)을 말을 말한다.

[] 우는 하()의 개국 군주로, 아버지를 이어 홍수를 다스리는 데 공을 세워 순()을 잇는 천자가 되었다.

[] 우순 때의 음악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