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연석오색[鍊石五色] 사기(史記) 보삼황본기(補三皇本紀)공공씨(共工氏)가 축융씨(祝融氏)와 싸워 이기지 못하자 화가 치밀어 부주산(不周山)을 무너뜨리자 하늘을 받치고 있던 기둥이 부러지고 땅을 동여매고 있던 밧줄이 끊어졌는데, 여와씨(女媧氏)가 오색빛 돌을 다듬어 하늘을 깁고 자라의 다리를 끊어 사방의 끝에 기둥으로 세웠다.”라고 하였다.

연석존[燕石尊] 연산(燕山)에서 나는 돌. 겉모양은 옥과 비슷한데 사실은 아무 가치가 없는 것으로 실속은 없고 허명만 있는 것을 말한 것이다. ()의 어리석은 인간이 연석을 큰 보물로 알고 길이길이 간직하고 있었는데, 객이 보고는 껄껄대며 말하기를 이것은 기와조각과 다를 바 없는 연석이라고 하자, 주인은 노발대발하며 더 깊이 간직했다는 것이다. <琅瑯代醉編 燕石>

연석지교[鍊石之巧] 삼황(三皇) 때에 여와씨(女媧氏)가 다섯 가지 색깔의 돌을 달구어 하늘을 때웠다는 고사를 인용한 것이다. <淮南子 賢冥訓>

연석진장[燕石珍藏] 연나라 돌을 보배로 여겨 지극한 정성으로 보관하고 있다는 의미로 식견이 짧은 사람이 사물의 진위를 분간 못한 채 확실한 지식을 가진 사람들의 의견도 무시하면서 자기의 잘못된 주관과 고집대로 행하는 것이다.

연성[連城] 연성은 연성벽(連城璧)의 준말로, () 나라 소왕(昭王)이 조() 나라 혜문왕(惠文王)에게 열다섯 성과 바꾸자고 청한 화씨벽(和氏璧)을 말한다. 사기(史記) 인상여전(藺相如傳)() 나라가 초()의 화씨벽(和氏璧)을 얻으니, 진소왕(秦昭王)이 조왕(趙王)에게 글을 보내어 성()과 바꾸자고 청했다.”라고 하였다.

연성벽[連城璧] 화씨벽을 말한다. 전국 시대 때 조() 나라 혜문왕(惠文王)이 소장하고 있었는데, () 나라 소왕(昭王)15개의 성()과 맞바꾸자고 청한 데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史記 廉頗傳>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