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어상[瘀傷] 병으로 몸이 마르고 약해지다.
❏ 어색전면[魚索纏綿] 부모를 일찍 여의었음을 한탄한 말이다. 어색은 마른 고기를 매다는 노끈을 가리킨 것으로, 설원(說苑) 건본(建本)에 “마른 고기를 매단 노끈은 얼마 안 가서 썩는 것이요, 두 어버이의 수명은 언뜻 흰말이 틈 지나가기와 같다.[枯魚銜索 幾何不蠹 二親之壽 忽若過隙]”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 어서호죽[魚書虎竹] 사신(使臣)이나 자사(刺使)가 가지고 다니는 부절(符節)로, 어부(魚符)·호부(虎符)·죽부(竹符)를 가리킨 것이다. <唐書 兵志>
❏ 어서호화[漁書狐火] 어서는 고기 뱃속에서 나온 글이며 호화(狐火)는 불을 켜 놓고 여우 울음을 한 것을 말한다. 진(秦) 나라의 폭정(暴政)에 반기를 든 진승(陳勝)은 처음 거사(擧事)할 적에 사람들을 따르게 하기 위하여, ‘진승이 왕이 된다[陳勝王]’는 글을 비단에 쓴 다음 잡아놓은 고기의 뱃속에 넣었으며, 동모자(同謀者) 오광(吳廣)에게 근처의 총사(叢祠)에다가 사람을 시켜 초롱불을 켜놓고 여우의 울음으로 ‘초 나라가 일어나고 진승이 왕이 된다.[大楚興 陳勝王]’라고 하게 하였다. <史記 陳涉世家>
❏ 어수[魚鬚] 깃대를 말한다. 문선(文選) 사마상여자허부(司馬相如子虛賦)에 “옥으로 아로새긴 수레를 타고 어수의 깃대를 세운다.”라고 하였다.
❏ 어수지친[魚水之親] 고기와 물의 친함을 이른다. 임금과 백성이 친밀한 것을 일컫기도 하고, 부부가 서로 사랑하는 것을 말하기도 한다. 수어지교(水魚之交)
❏ 어수회[魚水會] 군신(君臣)이 의좋게 잘 만난 것을 고기가 물을 얻은 데 비유한다.
❏ 어수희동환[魚水喜同懽] 유현덕(劉玄德)이 말하기를 “내가 공명(孔明)을 얻은 것은 물고기가 물을 얻음과 같다.”라고 하였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조[魚藻]~어조풍운[魚鳥風雲]~어지락[魚知樂] (0) | 2017.07.21 |
---|---|
어읍[於邑]~어인[於牣]~어인쌍획[漁人雙獲] (0) | 2017.07.20 |
어언무미[語言無味]~어염제기[魚鹽齊氣]~어유부중[魚遊釜中] (0) | 2017.07.19 |
어양[漁陽]~어양교[漁陽橋]~어양비고성[漁陽鼙鼓聲] (0) | 2017.07.18 |
어시언[於時言]~어안[魚鴈]~어약연비[魚躍鳶飛] (0) | 2017.07.17 |
어부[御府]~어사왕관곡[御史王官谷]~어사총[御史驄] (0) | 2017.07.13 |
어미적[魚尾赤]~어변성룡[魚變成龍]~어복거[魚腹居] (0) | 2017.07.12 |
어망홍리[魚網鴻離]~어목혼주[魚目混珠]~어묵[語黙] (0) | 2017.07.11 |
어로[魚魯]~어류영삼성[魚罶映三星]~어리침주토금인[馭吏沈酒吐錦茵] (0) | 2017.07.10 |
어동육서[魚東肉西]~어두일미[魚頭一味]~어려진[魚麗陣] (0) | 2017.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