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압각[鴨脚] 아욱[葵]의 별명.
❏ 압각[鴨脚] 은행나무의 별칭.
❏ 압강자기[鴨江紫氣] 조선 태조(太祖)를 가리킨다.
❏ 압구옹[狎鷗翁] 한명회(韓明澮)를 말한다.
❏ 압구정[狎鷗亭] 두모포(豆毛浦)남쪽 언덕에 세워진 정자. 수양대군(首陽大君)을 도와 부귀를 원없이 누린 한명회(韓明澮)가 그곳에다 정자를 지었는데, ‘압구정’이란 이름은 그가 명(明)나라에 사신 가서 그곳 한림학사(翰林學士) 예겸(倪謙)에게서 얻어 온 것으로 당시에는 그 정자가 중국에까지 이름이 났었다고 한다. <東史槪略>
❏ 압구정[狎歐亭] 송나라 재상 한기(韓琦)에게 압구정(狎歐亭)이 있었다.
❏ 압구해객[狎鷗海客] 열자(列子) 황제(黃帝)에 “바닷가에 갈매기를 좋아하는 사람이 있어 아침마다 바닷가에 나가 갈매기들과 놀았는데, 백 마리가 넘는 갈매기들이 몰려들었다. 그의 아버지가 ‘내가 듣건대 갈매기들이 너를 따라 논다고 하니 내가 가지고 놀도록 한 마리 잡아오너라.’고 하여, 그가 다음날 바닷가로 나가 갈매기를 잡으려 하니 갈매기가 한 마리도 곁에 내려앉지 않았다.”는 고사가 있다.
❏ 압권[壓卷] 다른 두루말이를 누름. 여럿 가운데 가장 뛰어난 부분이나 물건. 가장 우수한 답안이 다른 모든 두루말이(卷) 답안을 누르는(壓) 모양에서 압권(壓卷)이란 말이 생겨난 것입니다.
❏ 압반[押班] 백관이 조회(朝會)할 때 품급(品級)에 따라 정렬시키는 일을 감찰어사(監察御使)가 맡았는데, 이를 압반(押班)이라고 하였다. <新唐書 卷48 百官志3>
❏ 압사[壓沙] 죄인의 자백을 받기 위한 형벌의 한가지. 조선시대 죄인을 다루는 준엄한 형벌에는 압사(壓沙)·화형(火刑)·주유(朱紐)·압슬(壓膝)·형문(刑問)·가유(枷紐) 등이 있었는데, 압사는 사금파리를 땅에 깐 다음 죄인을 그 위에 꿇리고 물건으로 눌러 밟는 형벌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여장[艾如張]~애영[哀榮]~애오려[愛吾廬] (0) | 2017.03.27 |
---|---|
애막조[愛莫助]~애서안영독[厓西雁影獨]~애애[曖曖] (0) | 2017.03.24 |
애가리[哀家梨]~애내곡[欸乃曲]~애릉지전[艾陵之戰] (0) | 2017.03.23 |
앙암[仰巖]~앙앙[昂昂]~앙제[盎齊]~앙천이타[仰天而唾] (0) | 2017.03.22 |
압아[押衙]~압익사부조[壓溺死不弔]~앙말육마조[仰秣六馬槽] (0) | 2017.03.21 |
암청례[暗請禮]~암투비[暗投非]~암하전란[巖下電爛] (0) | 2017.03.17 |
암비[巖扉]~암연[黯然]~암중비약[暗中飛躍] (0) | 2017.03.16 |
암거천관[巖居川觀]~암랑[巖廊]~암리투주[暗裏投珠] (0) | 2017.03.15 |
알알[戛戛] ~ 알운성[遏雲聲] ~ 알현[謁見] (0) | 2017.03.14 |
알력[軋轢]~알묘우[揠苗愚]~알묘조장[揠苗助長] (0) | 2017.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