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새옹실마[塞翁失馬] 새옹지마(塞翁之馬)의 고사를 말한다. 회남자(淮南子) 인간훈(人間訓)에 “변방 근처에 사는 노인의 말이 도망쳐서 오랑캐 땅으로 들어가자 사람들이 모두 위로하니, 그 노인이 ‘이것이 도리어 복이 될는지 어떻게 알겠는가.’라 하였다. 몇 달 뒤에 그 말이 오랑캐의 준마 여러 마리를 데리고 돌아오자 사람들이 모두 축하하자, 노인은 ‘이것이 화가 될는지 누가 알겠는가.’라 하였다. 집에 좋은 말이 많아졌는데, 그의 아들이 말 타기를 좋아하여 말을 타다가 다리가 부러지니, 사람들이 와서 위로하였다. 그러자 노인은 ‘이것이 복이 될지 누가 알겠는가.’라 하였다. 1년 뒤에 오랑캐들이 대거 침입하자 장정들이 모두 나가 싸워 변방 근처에 사는 사람들 가운데 열에 아홉은 죽었다. 그런데 그의 아들만은 다리가 부러진 관계로 부자가 모두 온전하게 살 수 있었다.”라고 하였다.
❏ 새옹지마[塞翁之馬] 변방에 사는 노인의 말(馬). 인생의 길흉화복(吉凶禍福)이란 항시 바뀌어 예측할 수가 없음. 처음엔 말이 오랑캐 땅으로 도망가버려서 낙담했는데, 후에 오랑캐의 준마(駿馬)를 이끌고 돌아 와서 복이 되었고, 아들이 그 말들을 타다가 떨어져 다리가 부러지니 도로 화를 초래한 격이 되었다. 그러나 전쟁이 나서 장정들이 끌려가 많이 죽는 일이 생겼는데 아들은 다리가 부러져 나가지 못해서 목숨을 건졌으니 또다시 복이 된 것이다. 즉, 세상일은 복이 될지 화가 될지 예측할 수 없다는 비유로 쓰인다.
❏ 새원[塞垣] 장성(長城)을 뜻한다.
❏ 새태수렴[塞兌垂簾] 노자(老子) 52장에 “입을 꽉 다물고 욕망의 문을 닫으면 종신토록 수고롭지 않을 것이다.[塞其兌 閉其門 終身不勤]”라는 말이 나온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년수가의[生年輸賈誼]~생로병사고[生老病死苦]~생멸법[生滅法] (0) | 2016.02.04 |
---|---|
생계공사[省啓公事]~생관[甥館]~ 생구불망[生口不網] (0) | 2016.02.04 |
색즉동[色卽同]~색찬금문객[索粲金門客]~생가[笙歌] (0) | 2016.02.04 |
색사[色絲]~색소첨매적력피[索笑簷梅的皪披]~색우[色憂] (0) | 2016.02.03 |
색공신[色功臣]~색난[色難]~색부치[嗇夫馳] (0) | 2016.02.03 |
새안불정하리침[塞雁不征河鯉沈]~새연[塞淵]~새옹득실[塞翁得失] (0) | 2016.02.03 |
상효[桑鴞]~새마[塞馬]~새상옹[塞上翁] (0) | 2016.02.03 |
상혼침침[湘魂沈沈]~상홍양[桑弘羊]~상화루견금문내[霜靴累趼金門內] (0) | 2016.02.02 |
상현[湘絃]~상호결우[桑戶決疣]~상호봉시[桑弧蓬矢] (0) | 2016.02.02 |
상학경[相鶴經]~상한부녀[桑閒婦女]~상향[桑鄕] (0) | 2016.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