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상채[上蔡] 상채는 송(宋) 나라 정자(程子)의 제자 사양좌(謝良佐)를 말한다. 사양좌가 처음에 거업(擧業)을 익혀 그로 인하여 이름이 크게 났는데 어느 날 정호(程顥)로부터 “너희들이 이곳에서 나를 따르면서 오직 나의 말만을 배우고 있기 때문에 마음과 입이 서로 응하는 학문이 되지 못한다. 차라리 떠나가는 것이 낫지 않은가.”라는 책망을 받았다. <宋元學案 卷二十四 上蔡學案>
❏ 상채[上蔡] 지금의 하남성 상채시(上蔡市) 서남에 있었던 전국시대 때의 고을로 원래 채읍(蔡邑)이다. 주무왕이 자기의 동생 숙진탁(叔振鐸)을 이곳에 봉하였다. 후에 채평후(蔡平侯)가 나라를 신채(新蔡)로 옮겼다가 채소후(蔡召侯) 때 주래(州來)로 다시 옮겨, 주래(州來)의 이름을 하채(下蔡)로 불렀다. 이에 원래의 채읍 이름을 상채(上蔡)로 부르게 된 것이다.
❏ 상채[上蔡] 지금의 하남성 상채시(上蔡市) 서남에 있었던 전국시대 때의 고을로 원래 채읍(蔡邑)이다. 주무왕이 자기의 동생 숙진탁(叔振鐸)을 이곳에 봉했다. 후에 채평후(蔡平侯)가 나라를 신채(新蔡)로 옮겼다가 채소후(蔡召侯) 때 주래(州來)로 다시 옮겨, 주래(州來)의 이름을 하채(下蔡)로 불렀다. 이에 원래의 채읍 이름을 상채(上蔡)로 부르게 된 것이다. 채나라는 춘추 말 오나라가 초나라를 공격할 때 오나라 편에 서서 초나라를 궁지에 몰았다가 국세를 회복한 초소왕에 의해 멸망당하고 그 땅은 초나라 땅에 병합되었다.
❏ 상채승상동시곡[上蔡丞相東市哭] 진(秦) 나라 이사(李斯)가 사형장으로 끌려나간 때를 가리킨다. 사형을 받기 직전에 이사가 그의 아들을 돌아보며 “사냥개와 매를 몰고 상채(上蔡)의 동문을 나가 토끼 사냥을 하고 싶어도 이제 어떻게 하겠는가.”라고 말한 고사가 전한다. <史記 李斯傳>
❏ 상채응[上蔡鷹] 상채의 매사냥은, 초(楚)나라 이사(李斯)가 진(秦)나라 승상(丞相)이 되었다가 화를 당하여, 부자가 함께 함양(咸陽) 저자 거리에서 사형을 당하면서 아들을 보고 통곡하기를 “너와 내가 고향인 상채(上蔡)에서 매[鷹]와 사냥개를 데리고 사냥하던 것이 그립다.”고 하였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하극[上下屐]~상하상여삼숙련[桑下尙餘三宿戀]~상하탱석[上下撐石] (0) | 2016.02.02 |
---|---|
상포[觴蒲]~상풍고절[霜風高節]~상하[桑下] (0) | 2016.02.02 |
상평[尙平]~상평염법[常平鹽法]~상평혼가[尙平婚嫁] (0) | 2016.02.01 |
상치[尙齒]~상토선음우[桑土先陰雨]~상파[上坡] (0) | 2016.02.01 |
상천함[上天咸]~상체[常棣]~상체화[常棣華] (0) | 2016.02.01 |
상지수[上池水]~상지회[上之回]~상참[常參] (0) | 2016.02.01 |
상중금환[桑中金鐶]~상중지희[桑中之喜]~상지[傷指] (0) | 2016.01.29 |
상조[商調]~상주상각[商周相角]~상준[上尊] (0) | 2016.01.29 |
상점눈한[湘簟嫩寒]~상정[觴政]~상제선[象帝先] (0) | 2016.01.29 |
상저망국[象箸亡國]~상전배[床前拜]~상전벽해[桑田碧海] (0) | 2016.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