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사심알장교[邪心遏莊蹻] 장각은 춘추 시대 초(楚) 나라의 도둑인데, 성질이 포악하여 도척(盜跖)과 함께 흉악한 사람으로 일컬어진다.
❏ 사심자시[師心自是] 자기 생각만 옳다고 함을 말한다.
❏ 사심자용[師心自用] 마음을 스승으로 삼고 스스로 쓴다는 뜻으로, 자기가 생각하는 일은 다 옳다 하여 그대로만 하고 남의 말은 귀 기울이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 사십구년비[四十九年非] 춘추 시대 위(衛) 나라의 현대부(賢大夫)인 거백옥(蘧伯玉)이 나이 50이 되었을 때 49년 동안의 잘못된 행동을 깨달았다는 고사가 전한다. <淮南子 原道訓> 참고로 이태백의 시 ‘자극궁’에는 이 구절이 “지난 사십구 년 잘못된 생애, 한번 지나가니 돌이킬 수 없도다.[四十九年非 一往不可復]”로 되어 있다.
❏ 사십구재[四十九齋] 불교에서 죽은 이를 위한 의식 중, 재(齋)는 마음을 가지런히 하고 삼가하며 맑게 하는 의식이고, 제(祭)는 죽은 이를 위해 음식을 바치며 정성을 들이는 의식이다. 재에는 7일재(七日齋)외 49재(四十九齋)가 있는데 ‘7일재’는 돌아가신 날로부터 7일째 되는 날 지내는 것이고, ‘49재’는 7번째 돌아오는 7일재에 지내는 것이다. 7월 보름에 돌아가신 부모님을 위해 올리는 우란분재(盂蘭盆齋), 윤달에 죽기 전에 미리 공덕을 쌓기 위해 지내는 예수재(預修齋) 등이 있다. 사람이 죽으면 49일 동안 7번의 생사(生死)를 거치는 중음신(中陰身)의 과정을 거치는데 49일째 되는 날은 드디어 중음신의 신세를 벗고 삼계(三界) 육도(六道)에 다시 태어나는 날이라 한다. 남아있는 가족이나 친지들이 이 날을 기념하여 죽은 자가 삼계(三界 : 天界, 地界, 人界)에 가서 누리게 될 후생의 평안을 위해 독경과 공양으로 명복을 비는 것을 말한다. 칠칠재라고도 한다. 흔히 제사를 연상해 ‘사십구제’라고 잘못 쓰는 경우가 많다.
❏ 사십이불혹[四十而不惑] 나이 사십이 되어서 미혹되지 않는다는 뜻으로, 세상의 도리를 분명하게 알게 되어 어떠한 일에도 의혹되는 일이 없었다는 공자의 말로, 불혹(不惑)은 나이 40세로 사용된다. 불혹지년(不惑之年)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언[謝偃]~사역[沙𧌒]~사연추홍[社燕秋鴻] (0) | 2015.12.04 |
---|---|
사양지월[四陽之月]~사어지천[射魚指天]~사어취웅[舍魚取熊] (0) | 2015.12.04 |
사안석[謝安石]~사야교[士也驕]~사양장랑[使羊將狼] (0) | 2015.12.03 |
사악[四嶽]~사안불기[謝安不起]~사안비유[謝安比喩] (0) | 2015.12.03 |
사십자매[四十字媒]~사십초말[四十初襪]~사아도강[士雅渡江] (0) | 2015.12.03 |
사신우귀[蛇神牛鬼]~사심불구[蛇心佛口]~사심수초부[思尋遂初賦] (0) | 2015.12.03 |
사시정윤여[四時定閏餘]~사시추탈불능평[四時推奪不能平]~사시피[四時皮] (0) | 2015.12.02 |
사승직[絲繩直]~사시마조[似是馬曹]~사시반[四矢反] (0) | 2015.12.02 |
사숙[私淑]~사슬기수흥[舍瑟沂水興]~사슬자[捨瑟者] (0) | 2015.12.02 |
사수[死綏]~사수시[四愁詩]~사수침정[泗水沈鼎] (0) | 2015.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