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백리음서[百里音書] 가까운 지역에서 보내 온 소식을 말한다. 백거이(白居易)의 시에 “백리의 음서가 어찌하여 이토록 늦게야 도착했는가, 늦은 봄에 지은 시를 늦가을에야 받아 봤네[百里音書何太遲 暮秋把得暮春詩]”라는 구절이 있다. <白樂天詩集 卷15 渭村酬李二十見寄>
❏ 백리인성용철상[百里仁聲舂輟相] 백리해는 우(虞) 나라의 현신이었는데, 우 나라 임금을 버리고 진(秦) 나라로 가서 목공(穆公)을 섬김으로써 오고대부(五羖大夫)가 되었다. 조량(趙良)이 상앙(商鞅)에게 이르기를 “오고대부(五羖大夫)가 죽고 나자, 진(秦) 나라 백성들이 눈물을 흘렸고 방아를 찧던 자들이 절구질을 하지 않았다.”라 하였다. <史記 卷六十八 商君列傳>
❏ 백리잠우구[百里潛牛口] 우(虞)의 대부(大夫)백리해(百里奚)가 초(楚)나라 사람에게 붙잡혀 있을 때 진 목공(秦穆公)이 그의 어짊을 듣고 자기 나라 정사를 그에게 맡기기 위하여 염소 가죽 다섯 장으로 그의 죗값을 물고 데려와 국정을 맡겼는데, 그 말이 와전되어 백리해 자신이 진 목공을 만나기 위하여 염소 가죽 다섯 장에 몸을 팔아 남의 소 먹이 노릇을 하였다고 한다. <孟子 萬章上>
❏ 백리재[百里才] 지방 장관 또는 현령(縣令)의 별칭이다. 유비(劉備)가 처음에 방통(龐統)을 뇌양(耒陽)의 현령으로 발령하였는데, 오(吳) 나라의 노숙(魯肅)이 이 소문을 듣고 편지를 보내기를 “그는 백리재(百里才)가 아니니 조정에 불러와서 천리마(千里馬)의 재질을 펼치도록 해야 한다.”라고 한 고사가 있다. <三國志 蜀志 龐統傳>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미[白眉]~백미랑[白眉郞]~백미량[白眉良] (0) | 2015.08.30 |
---|---|
백목참존[白木鑱存]~백묘전[百畝田]~백문서[白文瑞] (0) | 2015.08.30 |
백마침[白馬沈]~백면서생[白面書生]~백모순속[白茅純束] (0) | 2015.08.28 |
백마진[白馬津]~백마청류[白馬淸流]~백마총[白馬塚] (0) | 2015.08.28 |
백리해[百里奚]~백마동도[白馬東到]~백마조두옹[白馬潮頭擁] (0) | 2015.08.28 |
백륜[伯倫]~백륜건[白綸巾]~백리부미[百里負米] (0) | 2015.08.28 |
백룡중단[白龍中斷]~백룡퇴[白龍堆]~백륙경심기낭신[百六驚心記曩辰] (0) | 2015.08.27 |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백룡어복[白龍魚服]~백룡어복계[白龍魚服戒] (0) | 2015.08.27 |
백련요정절[白蓮邀靖節]~백련유칙[白蓮遺則]~백로[白露] (0) | 2015.08.27 |
백련[白蓮]~백련사[白蓮社] (0) | 2015.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