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목우무전[目牛無全] 이는 극도의 경지에 이른 것을 비유한 것이다. 문혜군(文惠君)이 포정(庖丁)에게 묻기를 “그대는 어찌 그리도 소를 잘 잡는가?”하니, 포정이 대답하기를 “제가 좋아하는 것은 도(道)이므로 이미 기술의 경지를 벗어났습니다. 제가 처음에 소를 잡을 때 소 몸만 보이다가 3년이 지나자 소 몸이 세부적으로 나뉘어 보였고 지금에 와서는 마음속으로 보지 눈으로 보지 않습니다.”라고 하였다. <莊子 養生主>
❏ 목우유마[木牛流馬] 제갈량이 위(魏)와 싸울 때 험준한 산길에 군량을 운반하기 위하여 썼다는 나무 소와 딸딸이말. 그 제작법(촌법)이 그의 집(集)에 자세히 적혀 있으나, 그 작용은 알 수 없다.
❏ 목우파[牧牛派] 고려 보조국사(普照國師) 지눌(知訥)의 계파를 말한다.
❏ 목은[牧隱] 목은은 고려 말 삼은(三隱)의 한 사람인 이색(李穡)의 호이다. 자는 영숙(穎叔)이다. 그는 이제현(李齊賢)에게 수학하여 성리학에 밝았고, 그의 문하에서 권근(權近)·김종직(金宗直)·변계량(卞季良) 같은 제자들이 배출되었다.
❏ 목이[木耳] 버섯의 일종. 죽은 뽕나무 등에 많이 나는데 사람의 귀 모양으로 생겼기 때문에 이름하였다.
❏ 목인석심[木人石心] 의지가 굳어 어떠한 유혹에도 마음이 흔들리지 않는 사람을 일컫는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몰골화법[沒骨畫法]~몰시[沒矢]~몰오영[沒吾寧] (0) | 2015.07.02 |
---|---|
목탕경[睦湯卿]~목확[木玃]~목후이관[沐猴而冠] (0) | 2015.07.02 |
목청[穆淸]~목탁[木鐸]~목탁이삼하환자[木鐸二三何患子] (0) | 2015.07.01 |
목저노[牧猪奴]~목적[木賊]~목천자[穆天子] (0) | 2015.07.01 |
목작약[木芍藥]~목재[牧齋]~목재처[牧齋妻] (0) | 2015.07.01 |
목어[木魚]~목와[木瓦]~목우경[睦禹卿] (0) | 2015.07.01 |
목앵부[木罌艀]~목야[牧野]~목야호[木野狐] (0) | 2015.06.30 |
목식이시[目食耳視]~목아란파[木鵝卵破]~목안간[木雁間] (0) | 2015.06.30 |
목송비홍구왕패[目送飛鴻口王覇]~목송일비홍[目送一飛鴻]~목숙반[苜蓿盤] (0) | 2015.06.30 |
목상좌[木上座]~목서[木犀]~목석거[木石居] (0) | 2015.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