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대일통[大一統] 천하의 제후국 모두가 중국 황제에게 복속되어, 그 문물과 제도를 따르는 것을 말한다.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은공(隱公) 원년 첫머리에 원년 춘 왕정월(元年春王正月)’이라고 하였는데, 정월 앞에 왕() 자를 넣은 것에 대해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에서는 대일통(大一統)을 보여 주기 위함이다.”라고 하였다.

대임[大任] 태임(太任) 혹은 태사(太姒)라고도 한다. 주문왕의 정비이며 주무왕의 모친이다. 10명의 아들은 그 순서에 따라 백읍(伯邑) (), 무왕(武王) (), 관숙(管叔) (), 주공(周公) (), 채숙(蔡叔) (), 조숙(曹叔) 진탁(振鐸), 성숙(成叔) (), 곽숙(霍叔) (), 강숙(康叔) (), 염계(冉季) () 등이다.

대자대비[大慈大悲] 크게 사랑하고 크게 슬퍼하는 마음. 불교(佛敎) 용어로, 넓고 커서 가이없는 자비(慈悲)를 말한다. 특히 관음보살이 중생을 사랑하고 불쌍히 여기는 마음을 이른다.

대자석[代赭石] 대현(代縣)에서 생산되는 적철광(赤鐵鑛)의 일종이니, 농토에 퇴비를 주지 않아서 빨갛게 산화한 것을 말한다.

대작전가[大嚼塡街] 하사한 진수(珍需)를 보자 마을 사람들이 맨입을 씹으며 부러워한다는 뜻이다. () 나라 조식(曹植)이 오질(吳質)에게 보낸 편지에 도수장을 지나면서 크게 씹어보니[過屠門而大嚼] 비록 고기는 얻어먹지 못하여도 마음은 쾌하다[雖不得肉貴目快意]”라고 한 말에서 나온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