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 구덕[九德] 임금이 행해야 할 아홉 가지 일. 서경(書經) 대우모(大禹謨)에 “수(水)·화(火)·금(金)·목(木)·토(土)·곡(穀)·정덕(正德)·이용(利用)·후생(厚生)이 잘 닦이고 화하여야 선정(善政)이 된다.”라고 하였다.

  • 구도계명[狗盜鷄鳴] 전국시대 제(齊)나라 맹상군이 진(秦)나라에 구류되어 죽게 되었을 때, 그의 식객 가운데 한 사람이 진 나라 궁중의 창고에 개처럼 기어들어가 호백구(狐白裘)를 훔쳐와 그것을 진 나라 왕이 총애하는 궁녀에게 뇌물로 주고 일단 풀려난 다음, 말을 달려 도망가다가 밤중에 함곡관(函谷關)에 이르러 나가지 못할 때 또 다른 식객 하나가 닭울음소리를 내어 다른 닭들이 따라서 일제히 울자 문지기가 날이 새는 줄로 알고 문을 열어주어 위기를 모면하였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곧 하찮은 재주를 뜻한다. <史記 卷七十五 孟嘗君傳>

  • 구두오룡[九頭五龍] 상고시대 인황씨(人皇氏) 이후 태평 성대 십기(十紀) 중의 이기(二紀)에 해당하는 세대로서, 구두는 즉 인황씨의 아들 9형제의 세대를 말하고, 오룡은 바로 그 다음인 오룡씨(五龍氏)의 세대를 말한다.

  • 구등[篝燈] 바람을 막기 위해 불어리를 씌운 등이다.

  • 구랍[舊臘] 음력 섣달(12월)을 납월(臘月)이라 한 데서 온 말이다. ‘구랍’은 곧 지난 해 섣달(12월)이란 뜻이다. 객랍(客臘)으로도 쓴다.

  • 구량[九良] 구량은 아홉 필의 양마(良馬)이다. 이름은 부운(浮雲)·적전(赤電)·절군(絶群)·일표(逸驃)·자연(紫燕)·녹리총(綠離驄)·용정(龍丁)·인구(驎駒)·절진(節塵)으로 구일(九逸)이라고 불렀다. <西京雜記>

  • 구련우락[鉤連隅落] 사우사락(四隅四落)이 서로 이리저리 연결되는 일. 이위공문대(李衛公問對)에 “隅落鉤連曲折相對”라고 보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