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피[罷] 바래다. 덜다.

피골상접[皮骨相接] 살가죽과 뼈가 맞붙을 정도로 몹시 마름. 피골상련(皮骨相連).

피교[彼狡] 은 나라 주를 가리킨다. 기자(箕子)의 맥수가(麥穗歌)에 “저 교활한 아이가 나와 좋지 않도다.[彼狡童兮 不與我好兮]”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피도[皮島] 피도는 철산(鐵山) 앞바다에 있는 가도(椵島)이다.

피륙[皮陸] 당(唐) 나라의 시인으로 우정이 매우 돈독했던 피일휴(皮日休)와 육구몽(陸龜蒙)을 아울러 일컫는 말이다.

피리[被離] 많은 모양.

피리리양추[皮裏裏陽秋] 진(晋) 나라 저부(褚裒), 자는 계야(季野)다. 그가 입으로 남의 잘잘못을 말하지 않으나 맘속으로는 시비(是非)가 분명했다. 환이(桓彝)가 그를 보고 평하여 “계야(季野)는 입으로는 말하지 않으나, 가죽속에 양추(陽秋)가 있군.”이라고 하였다. 양추는 곧 봄과 가을로 봄에는 상을 주고 가을에는 벌을 주니 시비를 판단하는 기준이 있다는 말이다.

피리양추[皮裏陽秋] 피리춘추(皮裏春秋)와 같은 말인데, 곧 남에 대한 가부(可否)를 입밖으로 내지 않고 마음속으로 포폄(褒貶)하는 것을 이른다.

피리춘추[皮裏春秋] 진(晉) 나라 저부(褚裒)의 자가 계야(季野)인데, 환이(桓彝)가 지목하여 말하기를 “계야는 살갗 속의 춘추[皮裏春秋]이다.”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이는 겉으로는 시비선악이 없어도 속으로는 포폄(褒貶)하는 바가 있다는 것을 말한다. <晉書 褚裒傳>

피발수[被髮叟] 고조선(古朝鮮) 곽리자고(霍里子高)의 처(妻) 여옥(麗玉)이 지었다는 ‘무도하가(公無渡河歌: 공후인箜篌引이라고도 함) 속의 백수광부(白首狂父)를 말한다. 그 노인이 미쳐서 머리를 흩뜨린 채 술병을 들고 강물을 건너다가 빠져 죽자, 이를 말리던 노인의 처 역시 공후(箜篌)를 끌어다 노래를 부르고는 강물에 몸을 던져 죽었다는 내용이다. <樂府詩集 相和歌辭 箜篌引>

피서하삭[避暑河朔] 하삭은 중국의 하북(河北)을 말한다. 후한(後漢) 말엽의 원소(袁紹)는 하북 사람인데, 그는 삼복 더위를 당하면 밤낮으로 술을 먹어 더위를 피했으므로 하삭에는 피서음(避暑飮)이 있었으니 이것을 ‘하북음(河北飮)’이라 하였다. <初學記>

피세장동[避世墻東] 후한(後漢) 때의 은사 봉맹(逢萌)은 서방(徐房)·이자운(李子雲)·왕군공(王君公)과 매우 친했는데, 이때 왕망(王莽)이 전한(前漢)을 찬탈(簒奪)하여 세상이 어지러워지자, 이들은 모두 덕을 숨기고 고의로 나쁜 행동을 저질러 면책(免責)된 다음, 시골로 돌아가 은둔하였으나 오직 왕 군공만은 관비(官婢)와 간통하여 면직되자 고향으로 돌아가지 않고 시장에서 소 중개를 하며 스스로 은둔하니, 당시 사람들이 지목하여 “담장 동쪽으로 피세하는 왕 군공이라[避世墻東王君]”고 하였다. <後漢書 逢萌傳>, <高士傳>

 

반응형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요곡절[必有曲折], 필위[弼違], 필진도[筆陣圖], 필총[筆塚], 필추[苾蒭], 필탁[筆橐], 필탁투주[畢卓偸酒]  (0) 2024.03.13
필사[拂士], 필삭[筆削], 필상채화[筆上綵花], 필생화[筆生花], 필성[畢星], 필여연[筆如椽], 필연소[筆硯燒]  (0) 2024.03.13
필만[畢萬], 필문[蓽門], 필부무죄[疋夫無罪], 필부지용[匹夫之勇], 필부필부[匹夫匹婦], 필빈가[筆頻呵]  (0) 2024.03.13
피체[避遞], 피피[披披],피한렴[辟寒簾], 피현[避賢], 필갈양단[必竭兩端], 필련휘총마[匹練輝驄馬], 필률[篳篥]  (0) 2024.03.13
피우릉[避雨陵], 피윤무중심은표[皮潤霧中深隱豹] , 피전[避殿], 피지부존모장안부[皮之不存毛將安傅], 피진[避塵]  (0) 2024.03.13
풍표[馮豹], 풍향[楓香], 풍혈[風穴], 풍호[風虎], 풍호자[風胡子], 풍화[風花], 풍환무어[馮驩無魚], 풍후[風后]  (0) 2024.03.12
풍찬노숙[風餐露宿], 풍천비향[風泉悲響], 풍청사현도[風淸思玄度], 풍초[豐貂], 풍패향[豐沛鄕]  (0) 2024.03.12
풍융[豐隆], 풍이등롱[馮異登隴], 풍익[馮翼], 풍전[豐篆], 풍정매지수[馮亭賣地羞], 풍중와룡[豊中臥龍]  (0) 2024.03.12
풍운용호[風雲龍虎], 풍운지회[風雲之會], 풍운표도[風雲豹韜], 풍운회[風雲會], 풍월주인[風月主人]  (0) 2024.03.12
풍옥[豐玉], 풍옥토홍[豐獄吐虹], 풍우계명[風雨鷄鳴], 풍우대상[風雨對床], 풍우분상한[風雨分床恨]  (0) 2024.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