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반응형
한가히 찻주전자의 물 끓는 소리를 들으며
화로 안 음양의 이치를 터득하고
되는대로 두는 바둑판의 놀이를 바라보며
손안에서 살리고 죽이는 심오한 작용을 깨닫네.
閒烹山茗聽甁聲, 爐內識陰陽之理.
한팽산명청병성, 노내식음양지리.
漫履楸枰觀局戲, 手中悟生殺之機.
만리추평관국희, 수중오생살지기.
<채근담菜根譚/건륭본乾隆本/한적閑適>
- 산명[山茗] 산차. 산차나무로 만든 차.
- 추평[楸枰] 바둑판. 주로 가래나무[楸]로 바둑판을 만든 데에서 유래한다. 소식(蘇軾)의 시 대인증별(代人贈別)에 “연밥을 쪼개거든 중심을 보소, 바둑을 다 두면 다신 못 두리. 헤어져도 다시 만날 날이 있을 터, 한 끼 밥을 먹을 때도 어이 잊으랴.[蓮子擘開須見臆, 楸枰著盡更無期. 破衫却有重逢處, 一飯何曾忘却時.]”라고 하였다.
- 국희[局戲] 바둑이나 장기 따위의 오락. 바둑이나 장기 등으로 하는 놀음놀이. 판을 차리고 마주 향(向)하여 하는 놀이. 바둑·장기 같은 것.
- 수중[手中] 손 안. 손아귀. 자기 소유나 자기 세력을 부릴 수 있는 범위. 자기 세력이나 권력을 부릴 수 있는 범위 안.
- 현기[玄機] 깊고 묘한 이치. 심오한 도리.
【譯文】 調和陰陽, 生死攸關.
悠閑地烹煮山中新茗聽著砂瓶裏聲音, 火爐內認識陰陽的道理 ; 隨意地視履楸木棋枰看著棋局中遊戲, 交手中領悟生死的玄機.
반응형
'마음[心法]산책 > 청한[淸閑]과 초탈[超脫]'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리에 대해 말하기 꺼리는 사람도 <채근담/취고당검소> (0) | 2023.02.07 |
---|---|
사람마다 자비심이 있고 나름의 멋이 있다 <菜根譚채근담> (0) | 2022.11.29 |
바둑 두어 피세하고 잠에 들어 망세하고 <小窓幽記소창유기> (0) | 2022.11.26 |
서리하늘의 학 울음과 흐르는 물에 뛰노는 물고기 <채근담/소창유기> (0) | 2022.11.17 |
바쁜 벌을 보고 잠든 제비를 보노라면 <채근담/석시현문/취고당검소> (0) | 2022.11.17 |
좋은 것은 먼 데 있지 않고, 멋은 많은 데 있지 않다 <채근담菜根譚> (0) | 2022.11.17 |
마음은 대나무처럼 얼굴빛은 소나무처럼 <채근담/취고당검소> (0) | 2022.11.17 |
자연의 비단자리 깔고 앉아 천상의 영롱한 정수를 달이네 <채근담> (0) | 2022.11.17 |
매이지 않는 태도와 한가로운 마음, 청아한 풍채와 당당한 품격 <채근담 / 증광현문> (0) | 2022.11.17 |
기묘하고 무궁한 천지의 조화 <채근담菜根譚> (0) | 2022.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