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반응형
오막살이에 느긋이 살아
보고 듣는 데는 한계 있지만
낯빛은 절로 환히 밝아지고
산골 늙은이와 어울려 살아
예의와 격식에는 소홀하지만
생각은 항상 진솔하다네.
棲遲蓬戶, 耳目雖拘而神情自曠.
서지봉호, 이목수구이신정자광.
結納山翁, 儀文雖略而意念常眞.
결납산옹, 의문수략이의념상진.
<채근담菜根譚/건륭본乾隆本/한적閒適><증광현문增廣賢文>
- 서지[棲遲] 천천히 돌아다니며 마음껏 놂. 하는 일 없이 느긋하게 돌아다니며 놂. 벼슬을 마다하고 세상을 피하여 시골에서 삶. 돌아다니며 쉬거나 한가로이 지내는 것. 은거하여 편안하게 노니는 것을 말한다. 시경(詩經) 진풍(陳風) 형문(衡門)에 “형문(衡門: 두 기둥에다 한 개의 횡목을 질러 만든 허술한 대문)의 아래여 쉬고 놀 수 있도다. 샘물이 졸졸 흐름이여 굶주림을 즐길 수 있도다.[衡門之下, 可以棲遲. 泌之洋洋, 可以樂飢.]”라고 하여 누추한 곳이라도 은자가 지내기엔 족한 곳이라는 구절이 있고, 유장경(劉長卿)의 시 장사과가의댁(長沙過賈誼宅)에 “이곳에서 보낸 귀양살이 삼 년이라도, 가의는 만고에 남은 것은 가의의 슬픔이네.[三年謫宦此棲遲 萬古惟留楚客悲]”라고 하였다.
- 봉호[蓬戶] 쑥대로 엮은 문. 가난한 사람이나 숨어사는 사람의 집을 이르는 말. 가난한 선비의 거처를 이른다. 예기(禮記) 유행(儒行)에 “선비는 문 옆에 작은 문을 내고 쑥대로 엮은 출입문과 옹기로 들창을 달며, 옷은 번갈아 입고 나오고 이틀에 하루치의 음식을 먹는다.[儒有一畝之宮, 環堵之室, 篳門圭窬, 蓬戶甕牖, 易衣而出, 幷日而食.]”라고 하였다.
- 신정[神情] 표정. 안색. 기색. 모습.
- 결납[結納] 결탁하다. 마음을 결합하여 서로 의지함. 서로 짜고 한통속이 되다.
- 의문[儀文] 의례(儀禮)에 관한 법도. 의식과 예절. 의례적인 형식. 의식 절차에 대해 쓴 글.
【譯文】 目拘情曠 禮略意眞
棲息遲留蓬草門戶, 耳朵眼目雖然拘梗但神態表情自然曠逸 ; 結交迎納山間老翁, 禮儀文飾雖然簡略但意味念頭常常眞切.
반응형
'마음[心法]산책 > 청한[淸閑]과 초탈[超脫]'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죽음을 생각하면 냉정해지고, 자연을 대하면 고요해진다 <채근담> (0) | 2013.11.27 |
---|---|
욕심이 없으면 부림 당하지 않는다 <채근담> (0) | 2013.11.26 |
운명이든 자연이든 사람하기 나름이다 (0) | 2013.11.22 |
부귀와 곤궁이 다를 것이 무엇인가 (0) | 2013.11.13 |
달빛에 만물이 본 모습을 드러내고 (0) | 2013.11.13 |
꾀꼬리는 다정하고 흰 구름은 나른하니 <채근담/소창유기> (0) | 2013.11.12 |
정신은 치열하게 감성은 소탈하게 (0) | 2013.11.12 |
마음의 눈으로 자연을 보면 심사가 맑고 기상이 너그러워진다 <채근담/소창유기> (0) | 2013.11.11 |
무엇이 헛것이고, 무엇이 진짜인가?<취고당검소> (0) | 2013.11.06 |
부귀한 사람은 죽음에 이르러 연연하게 된다 <취고당검소> (0) | 2013.11.06 |